[일지]24년동안의 한일 숙제...일본군 위안부 문제

입력 2015-12-28 09:16

한일 양국 외교장관은 28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담판에 나선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이날 오후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 17층 회의실에서 회담한 뒤 3층 국제회의장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1991년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으로 증언한 이래 24년간 양국 관계에서 '난제 중의 난제'로 꼽힌다.

다음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발생 후 24년간의 일지.

▲ 1991년 8월 14일 = 한국인 피해자 김학순씨, 첫 위안부 증언 기자회견

▲ 1991년 12월 8일 = 김학순씨 등 위안부 피해자 3명 일본 정부 제소(이후 2004년 日최고재판소서 원고 패소 확정)

▲ 1992년 1월 13일 = 日정부, 가토 관방장관 담화 발표…일본군 관여 공식 인정

▲ 1992년 1월 17일 = 미야자와 일본 총리 방한…한일 정상회담 및 한국 국회 연설에서 위안부 문제 사죄

▲ 1992년 7월 6일 = 일본 정부 1차 위안부 실태 조사결과 발표. 가토 고이치 관방장관 "위안소의 설치나 운영·감독 등에 정부 관여" 인정

▲ 1992년 7월 31일 = 정부, '일제하 군대위안부 실태조사' 중간보고서 발표

▲ 1993년 3월 13일 = 김영삼 대통령, 정부 차원에서의 물질적 보상 불(不)요구 방침 천명, 철저한 진상규명 촉구

▲ 1993년 8월 4일 = 일본 정부 2차 조사결과와 함께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 등을 인정한 '고노 관방장관 담화' 발표

▲ 1994년 = 94년도 판 고교일본사 교과서에 '위안부' 기술

▲ 1994년 8월 31일 = 무라야마 총리, 위안부 사죄 담화

▲ 1995년 7월 19일 = 일본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 발족. 한국 정대협 등 43개 단체, 기금 발족 반대 성명

▲ 1996년 4월 = 유엔 인권위원회 '전쟁 중 군대 성노예 문제 조사보고서' 수용 결의(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과 보상 촉구)

▲ 1997년 1월 11일 = 日기금,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에 200만엔 최초 지급 및 하시모토 총리 명의 사죄 서한 전달…韓정부, 피해자 요구 외면한 일시금 지급에 유감 표명

▲ 1997년 1월 30일 = 일본 '새역모' 설립 총회. 위안부 기술 등 삭제 요구

▲ 1999년 7월 30일 = 국내 피해자 지원단체 반발로 日기금측의 한국에 대한 일시금 지급 사업 일시 중단

▲ 2000년 4월 = 일본 민주당 '전시 성적 강제피해자 문제의 해결 촉진에 관한 법률안'(모토오카 법안) 제출(통과 안 됨)

▲ 2000년 12월 = 도쿄 일본군 성노예 전범 국제 여성법정, 히로히토 일왕과 일본 정부에 유죄 판결

▲ 2001년 4월 3일 = '새역모' 교과서, 일본 문부과학성 검정 통과

▲ 2002년 5월 1일 = 日기금측, 위로금 지급 신청접수 마감, 한국 내 활동 종료

▲ 2005년 8월 26일 = 한일 수교회담 외교문서 전면 공개

▲ 2006년 = 2006년도 판 일본 중학교 교과서 본문에서 '위안부' 기술 사라짐

▲ 2007년 3월 = 아시아여성평화기금 해산

▲ 2007년 7월 30일 = 미국 하원 본회의, 일본정부에 위안부 문제 책임 인정 및 공식 사죄 요구하는 결의 채택

▲ 2011년 8월 30일 = 韓헌재,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청구권 분쟁을 해결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건 위헌" 결정

▲ 2011년 9월 = 韓외교부, 일본에 위안부 배상청구권 문제 외교협의 요청

▲ 2011년 12월 18일 = 이명박 대통령, 한일 정상회담서 위안부 문제 집중 거론

▲ 2012년 12월 27일 =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 '고노담화 수정' 언급

▲ 2013년 1월 6일 = 미 정부 고위 관계자 "고노담화 수정하면 미국 정부 차원에서 대응한다"고 일본 정부에 통고

▲ 2013년 1월 29일 = 미 뉴욕주 상원, 위안부 결의 채택

▲ 2013년 2월 7일 = 아베 총리, 국회서 "사람 납치 같은 강제를 보여주는 증거가 없다"고 발언

▲ 2013년 7월 30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시에 '위안부 소녀상' 제막

▲ 2014년 1월 15일 = 미국 하원에서 2007년 위안부 결의안 준수를 촉구하는 법안 표결 통과(16일 상원 통과, 17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 서명)

▲ 2014년 2월 28일 = 스가 관방장관,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고노담화 작성 경위 검증하겠다고 답변

▲ 2014년 3월 1일 = 박근혜 대통령, 3·1절 기념사에서 "이제 쉰다섯 분밖에 남지 않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상처는 당연히 치유하여야 한다. 과거의 역사를 부정할수록 초라해지고 궁지에 몰리게 되는 것"이라고 언급

▲ 2014년 3월 5일 = 윤병세 외교부 장관, 제25차 유엔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서 고노 담화 수정 움직임이 "반인도적·반인륜적 처사"라고 비판

▲ 2014년 3월 14일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아베 내각에서 고노 담화의 수정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발언

▲ 2014년 4월 16일 =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서울에서 위안부 문제 논의 국장급 첫 협의

▲ 2014년 4월 25일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위안부 문제는 "매우 끔찍한 인권 침해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발언

▲ 2014년 5월 15일 = 이상덕 국장·이하라 국장, 일본 외무성에서 위안부 문제 국장급 2차 협의

▲ 2014년 6월 20일 = 일본 정부 고노담화 작성 경위 검증 보고서 중의원 제출…韓정부, "사실관계 호도" 비판하며 깊은 유감 표명

▲ 2014년 7월 23일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제3차 한일 국장급 협의 개최(서울)

▲ 2014년 7월 24일 = 유엔 시민적·정치적 권리위원회, 일본군 위안부 인권침해 책임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인정과 공개사과 요구.

▲ 2014년 8월 6일 = 나비 필레이 유엔 인권최고대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입장을 내고 포괄적이고 공정하며 영구적인 해결책 마련을 일본 정부에 촉구

▲ 2014년 9월 19일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제4차 한일 국장급 협의 개최(도쿄)

▲ 2014년 11월 27일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제5차 한일 국장급 협의 개최(서울)

▲ 2015년 1월 19일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제6차 한일 국장급 협의 개최(도쿄)

▲ 2015년 3월 16일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제7차 한일 국장급 협의 개최(서울)

▲ 2015년 6월 11일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제8차 한일 국장급 협의 개최(도쿄)

▲ 2015년 8월 14일 = 日정부, '전후 70주년 아베 총리 담화' 발표

▲ 2015년 9월 18일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제9차 한일 국장급 협의 개최(도쿄)

▲ 2015년 11월 2일 =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 위안부 문제 조기 타결을 위한 협의 가속화에 의견 일치

▲ 2015년 11월 11일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제10차 한일 국장급 협의 개최(서울)

▲ 2015년 12월 15일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제11차 한일 국장급 협의 개최(도쿄)

▲ 2015년 12월 27일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제12차 한일 국장급 협의 개최(서울)

▲ 2015년 12월 28일 =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외교장관 회담 개최(서울)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