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은 27일 2016년 예상되는 국내외 10대 트렌드로 ‘G2 빅매치’, ‘테러와 경제’ 등을 선정했다.
우선 ‘G2 빅매치’ 관련 중국의 경제력이 급성장하여 세계경제와 국제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미·중간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Tight Money, Sluggish Economy’도 주요 이슈로 선정됐다.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며 돈줄 죄기를 본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들의 회복세가 미약한데다 중국마저 경제성장률이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가라앉는 신흥국’도 주요 이슈다. 미국 금리인상에 따르는 외국인 자본 유출과 이에 따른 외환위기 발생 우려, 중국 경기 둔화로 인한 수출 경기 부진,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한 원자재 수출국(특히 산유국)의 재정 악화 등이 신흥국에는 새로운 도전이 될 전망이다. 테러발생 가능성이 커지면서 경제가 심리적으로 위축되는 ‘테러와 경제’도 주요 이슈로 꼽혔다.
국내 이슈와 관련해서는 ‘잠재성장률 3% 논쟁 점화’, ‘신(新)넛크래킹에 빠진 한국경제’, ‘주택 공급과잉 속 전세난 심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시동의 마지막 골든타임’ 등이 선정됐다
내년에는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이 3%대 아래로 떨어졌는지에 대한 논쟁이 가열될 것으로 전망되고, 중국이 기술격차를 빠른 속도로 좁혀오면서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상황이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 2016년에는 주택 공급과잉 우려 확대와 전세수급 불일치 등의 원인으로 전세난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남북간 본격적인 대화 국면 진입과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시동을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연구원은 ‘산업 경기 DELAY(회복지연), ‘추경절벽’ 우려와 경제심리 등도 내년 한국경제 10대 이슈로 선정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현대경제연구원. ‘G2빅매치’, ‘잠재성장률 3% 논쟁 점화’ 등 내년 국내외 10대 트렌드 선정
입력 2015-12-27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