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26일 성명을 내고 “28일 한일 외무장관 회담에서 피해자들이 진심으로 납득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조속하고 올바른 해결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대협은 “일본 정부는 일본 정부 및 일본군이 군 시설로 위안소를 입안·설치하고 관리·통제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여성들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위안부·성노예’가 되었고 위안소 등에서 강제적인 상황에 놓였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일본군에게 성폭력을 당한 식민지·점령지·일본 여성들의 피해는 각각 다른 양태이며 피해가 막대했고 현재도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군 위안부 제도는 당시의 여러 국내법, 국제법에 위반되는 중대한 인권침해였다는 사실과 책임을 인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대협은 일본정부가 이런 사실에 기반해 “번복할 수 없는 명확하고 공식적인 방식으로 사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죄의 증거로 피해자에게 배상하고 일본 정부가 보유한 자료를 전면 공개하고 새로운 자료와 국내 피해자·관계자 증언 조사에도 나설 것을 요구했다. 정대협은 “의무교육 과정의 교과서 기술을 포함한 학교교육, 추모사업 실시 등도 실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대협은 특히 일본 정부가 위안부 소녀상 철거를 문제 해결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운다고 알려진 것과 관련, 피해자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 과정과 역사를 가해자가 제거하려는 폭력적 시도라며 “이런 조건을 두고 문제해결은 불가능하다”고 비판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정대협 "소녀상 철거 전제조건이면 문제 해결 불가능"
입력 2015-12-26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