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28일 예정된 한일 외교장관 회담과 관련 생존한 할머니들 중 한 명이라도 반대하면 일본의 사죄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또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직접 피해자들을 찾아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일본 언론을 통해 소녀상 이전 가능성이 거론되자 강력히 반발하면서 공동의 존재인 소녀상은 철거하거나 이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못박았다.
28일 예정된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이런 요구들이 다뤄지겠지만 일본이 얼마나 호응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핵심은 ‘방문 사과’과 아베 총리가 요구해온 소녀상 철거는 불가하다는 입장인데, 이런 조건들을 일본이 수용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적지 않다. 다만 양국 정부가 얼마나 피해 당사자들의 요구를 수용할지, 또 당사자들의 입장 변화를 설득할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위안부 할머니들과 시민단체들이 이 정도 요구를 하고 있음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어 이런 문제들을 포함해 외교장관 회담에서 모종의 결과를 도출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이 전혀 없지는 않다.
26일 경기 광주시 퇴촌면 위안부 피해자 시설인 나눔의 집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 6명은 일본 정부의 위안부 문제 해결방안에 실망하며 아베 총리의 방문과 사죄를 요구했다.
할머니들은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10억원 상당의 의료 복지 기금을 설립하고, 아베 총리가 사과 메시지를 전달하기로 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나눔의 집은 생존한 위안부 피해 할머니 46명의 의견을 모아 단 한 명이라도 반대하면 일본의 사죄와 배상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정했다.
정대협도 소녀상 이전 가능성 보도에 강하게 반발했다. 윤미향 정대협 대표는 “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 정부와 피해자, 시민단체가 그간 한목소리를 내왔다”며 “양국 간 어떤 이야기가 오갔는지 시민단체에 함구하면서 일본 언론에 이렇게 얘기했다면 큰 문제다. 보도 내용이 사실이라면 국론 분열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위안부 피해자 한명이라도 반대하면 日사과 불수용"
입력 2015-12-26 1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