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최종 타결 모색을 위한 한·일 외교장관회담이 오는 28일 서울에서 열린다.
외교부는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이 28일 방한해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회담을 갖는다고 25일 밝혔다. 외교장관회담 하루 전인 27일에는 위안부 문제 협의를 위한 제12차 국장급 협의도 개최하기로 했다.
앞서 전날 일본 언론들은 28일쯤 서울에서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열릴 것이라며 이 회담에서 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합의가 도출될 경우 내년 박근혜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조기에 성사시켜 정식 합의를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외교장관 회담에서 타결될 경우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박 대통령이 내년 재차 정상회담을 열어 타결 내용을 확인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또 교도통신은 “박 대통령의 조기 방일을 요청해 정상회담에서 정식으로 합의하는 방안도 일본 측에서 부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의하면 일본 정부는 1억엔(약 9억7000만원)을 초과하는 새로운 군위안부 피해자 지원 기금을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또 군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피해자들에게 보내는 편지 형태로 아베 총리가 '책임'과 '사죄'를 언급하는 방안이 일본 정부 안에서 제기되고 있다고 복수의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다만 '책임'이 '법적 책임'을 말하는 것인지 '도의적 책임'을 말하는 것인지, 또 '일본 정부의 책임'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는 것인지 여부 등이 불분명해 외교장관 회담에서 적지 않은 진통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일본 정부는 합의가 도출되면 새롭게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한국 정부의 확약도 받겠다는 방침이다. 또 서울 주한일본대사관 앞의 군위안부 소녀상을 철거할 것, 군위안부 자료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등을 하지 말 것으로 요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교도통신은 아베의 외교책사로 불리는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국장이 지난 22∼23일 방한해 협의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야치 국장과 청와대 비서실장인 이병기 전 주일대사가 협의를 거듭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교도통신은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군위안부 강제연행 문제를 놓고 갈등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기시다 외무상이 회담에서 위안부에 강제성은 없었다는 확인을 요구할 태세여서 반발을 부를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
위안부 문제 타결 임박?…28일 한일 외교장관 회담
입력 2015-12-25 16:34 수정 2015-12-25 1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