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 개혁파’ 이목희 정책위 의장, 성탄절 협상도 수용

입력 2015-12-24 12:19

새정치민주연합은 24일 쟁점법안 처리와 관련, 정부·여당의 '야당 발목잡기' 프레임에 갇히지 않으려고 적극적인 협상 의지를 피력했다.

이는 강성 개혁파로 분류되는 이목희 정책위의장 취임 후 '협상이 더 안 된다'는 여당의 비판을 의식한 조치로 해석되지만, 막상 쟁점법안에 대한 반대입장은 달라진 게 없어 연내 법안처리에 난항이 예상된다.

특히 비주류인 이종걸 원내대표와 주류 인사인 이 정책위의장이 협상 내용에 대한 이견을 표출하면서 협상이 더 난항에 빠지는 모양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오후에 예정된 여야 2+2 회담과 관련, "국민에게 성탄선물을 드리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성과가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목희 정책위의장도 "(새누리당이) 언론을 통해 강경파가 뭘 해서 협상이 안 된다고 해 유감이다. 새누리당이 어떤 행태로 어떤 법을 협상하자고 해도 다 응하겠다"며 성탄절 연휴에도 협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야당은 쟁점법안의 원안처리에 반대한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며 협상 교착 책임을 정부·여당에 돌렸다.

이 원내대표는 "국회는 청와대가 지시하는 일정과 의제에 더이상 일방적으로 끌려가서는 안 된다. 의회주의의 독립성은 국회가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정책위의장도 "새누리당이 국민 아우성에 귀를 기울이고 수정이 필요한 것은 (수정)해서 들고나오면 좋겠다"며 여당이 적절한 타협점을 찾는 대신 원안처리만 요구한다고 비판했다.

또 야당이 기업활력제고법(원샷법)에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을 제외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에서 물러나 정부가 구조조정이 시급하다고 주장하는 철강·조선·석유화학 분야의 대기업만 포함하는 수정안을 제시했지만 정부·여당이 받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협상 내용에 대한 지도부의 엇박자가 연출되기도 했다.

이 원내대표는 정책조정회의에서 "경제민주화와 민생살리기에 꼭 필요한 몇몇 법안을 추가로 말씀드릴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이목희 정책위의장이 설명하겠다"고 했지만, 막상 이 정책위의장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추가 법안은 없다"고 못박았다.

이 정책위의장은 추가 법안을 철회한 이유에 대해 "우리 주장이 틀려서가 아니라 그게 협상을 방해한다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은 얘기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이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여야 불균형'을 주장하며 협상 대상에 사회보장기본법과 기초연금법을 추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