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우 수석대변인은 24일 "전략공천은 기존의 자기 사람 또는 계파의 인물을 유리한 지역에 내리꽂는 것"이라면서 "그러나 전략적 공천은 험지에 내려 보내는데 민주적 경선을 거치도록 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공천에서 특정 계파나 권력자, 청와대의 입김을 배제하기 위해 '정치 생명'까지 걸면서 전략공천을 반대했다.
제 18대, 제19대 국회에서 당시 주류 세력이었던 친이(친 이명박)계와 친박(친 박근혜)계가 공천권을 휘두르고, 그 과정에서 김 대표 자신이 두 번이나 석연치 않은 이유로 공천에서 배제되면서 상향식 공천을 일생일대의 정치적 목표로 삼은 것이다.
지난해 2월 당헌·당규를 개정하면서 전략공천 조항을 삭제하고 대신 '우선추천 지역'이 등장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한 것도 김 대표였다.
김 대표는 또 우선추천 역시 전략공천과는 전혀 다르며, 월등한 경쟁력을 갖춘 인물을 후보로 낙점하는 단수 추천도 당헌·당규에는 없는 제도라고 강변했다.
다만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회의 직후 단수추천제 허용 여부에 대한 기자들의 거듭되는 질문에 "어느 지역에 한 사람만 공천을 신청했을 경우 공천을 확정하든지, 적임자가 아니라면 다른 사람을 찾는 방법밖에 없는데 이를 단수추천제라고 한다"고 여지를 남겼다.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정치 개혁을 달성하려는 김 대표로서는 어떻게든 과거 밀실 공천으로 여겨진 전략공천은 막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전략공천 확대를 요구하는 친박계는 전혀 생각이 다르다.
우선·단수추천 모두 당헌·당규가 규정한 제도로서 전략공천이고, 김 대표가 얘기하는 험지 출마론 역시 전략공천의 동의어라는 것이다.
당내에서는 또 중앙당이 공을 들여 영입할 경우 이미 화려한 조명을 받으면서 경선에서는 우월적 지위를 차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존 전략공천과 유사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당의 한 관계자는 "총선 승리를 위해서 경쟁력 있는 분들은 이런 곳에 나가라고 하는 게 전략공천의 핵심"이라면서 "2012년에 공천했을 때도 그런 식으로 전략적 배치를 통해 승리했는데 그 게 전략공천이 아니라고 하는 것은 국민을 속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YTN라디오에서 단수추천에 대해 "당헌·당규에 있는 것으로서 신청자 중에 경쟁력이 매우 앞서가면 오히려 경선을 시키는 게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면서 "그런 경우 단수추천으로 공천을 준다"고 말했다.
사무총장을 지낸 친박계의 홍문종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험지출마론을 주장하려면 일단 전략공천을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또 김황식 전 총리나 안 전 대법관 같은 분은 험지가 아니라 차라리 인큐베이터에 넣어서 큰 거목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친박계로서는 현 정부에서 장관이나 청와대 고위직을 지낸 인사들이 험지 출마론의 차출 대상이 될 수 있어 차단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친박계를 중심으로는 전략공천이 반드시 역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탄핵 역풍 속에 당이 소멸될 위기를 딛고 121석으로 개헌 저지선을 확보한 제17대 총선, 이명박 전 대통령, 이재오 홍문종 의원, 김문수 전 경기지사 등을 배출해 성공한 공천으로 꼽는 지난 제15대 총선에서도 전략공천이 이뤄졌다는 논리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전략 공천 대 전략적 공천의 차이점은?” 정치적 셈범 따라 다른 해석
입력 2015-12-24 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