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 “서울시의회 청렴도 2회연속 꼴찌…울산시의회 1위”

입력 2015-12-23 10:46

전국 17개 광역의회 가운데 서울시의회의 청렴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의회는 2년전 실시된 조사에서도 최하위를 기록, 2회 연속 '청렴도 꼴찌'라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3일 62개 지방의회(광역의회 17개, 기초의회 45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5년도 지방의회 청렴도 측정'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종합청렴도 조사 결과는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직무 관계자와 경제사회단체·전문가, 지역주민 등 2만8천469명을 상대로 전화설문조사와 이메일,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조사 등의 방식을 통해 평가한 뒤 부패사건 발생 현황 등에 대한 점수를 종합해 도출됐다.

올해 지방의회의 종합청렴도는 10점 만점에 6.08점를 기록했다. 기초의회의 종합청렴도는 6.10점이고, 광역의회 종합청렴도는 6.02점으로 기초의회가 광역의회보다 약간 더 높았다.

권익위는 2년에 한 번씩 지방의회 청렴도 조사를 하는데 2013년에는 10점 만점에 6.15점을 기록했다.

올해 조사에서 광역의회의 경우 울산광역시 의회가 6.44점을 얻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서울시의회가 5.33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서울시의회는 지난 2013년에도 6.26점으로 최하위 평가를 받았다.

기초의회 중에는 경기도 파주시가 6.64점으로 1등을 기록했고 경북 포항시의회(5.35점), 경기 부천시의회(5.35점), 서울 관악구의회(5.51점)가 최하위 3개 의회로 평가됐다.

조사 항목별로는 직무관계자가 평가한 청렴도 점수가 6.67점으로 가장 높았고, 경제사회단체·전문가 점수 6.11점, 지역주민 점수 5.41점 등으로 나타나 지역주민들의 지방의회에 대한 평가가 가장 낮았다.

특히 평가자들은 지방의회의 주요 문제점으로 외유성 출장(5.64점), 공정하지 못한 활동(5.76점), 연고관계에 따른 업무처리(5.77점), 선심성 예산편성 요구(5.87점), 권한남용(5.87점) 등을 꼽았다.

직무관계자가 지방의회 관련 업무를 하면서 경험한 부패 유형으로는 부당한 업무처리 요구(16.4%), 특혜를 위한 부당한 개입·압력(12.0%), 사적 이익을 위한 정보 요청(11.1%), 계약업체 선정 관여(7.0%), 금품·향응·편의 제공(1.2%), 인사 관련 금품 등 제공(0.8%) 등의 순이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