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의원의 탈당 후 후속 이탈 움직임의 폭을 가를 핵심변수로 떠오른 김한길 전 대표와 박지원 전 원내대표, 박영선 전 원내대표 등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지난 20일 페이스북으로 문재인 대표에게 '최후통첩'을 보낸 김 전 대표는 사실상 결행 시기만 남은 게 아니냐는 관측이 당 안팎에서 나온다. 김 전 대표는 최근 주변 인사들에게 "아직 당내에서 해야 할 일과 기회가 남아 있다. 문 대표에게 끊임없이 통합을 위한 살신성인을 말하고 있다"면서 "만약 끝까지 안된다면 정해진 수순으로 가야겠지…"라며 탈당을 시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대표는 전날 한 언론 인터뷰에서 "안 의원 탈당 이후 연락을 지속하고 있다. 안 의원 측과 새로운 가능성을 키워 나가는 방법밖에 없다고 결론이 난다면 그렇게 하겠다"며 안철수 신당 합류 가능성도 시사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22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우리 스스로 분열해 광주, 호남에게 '분열의 선택'을 강요하는 상황이 됐다"며 "오직 문 대표의 결단만이 이 모든 것을 원점으로 되돌릴 수 있다"고 압박했다. 그는 "절이 중의 말을 안 들어주면 중이 나가는 수밖에 없다"면서 "상황을 좀 보고 있다"고 말했다.
호남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해온 박 전 원내대표는 전남 지역의 선거구 획정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다른 일부 의원과 함께 움직일 수 있다는 관측이 당 안팎에서 제기된다. 다만 탈당하더라도 '안철수 신당'에 곧바로 합류하기 보다는 당분간 무소속에 머물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당내 중도파 인사 모임인 '통합행동' 소속인 한 박영선 전 원내대표는 보수와 진보의 이념적 대립을 넘은 '제3 지대'를 모색하는 활동을 통해 행동반경을 넓혀가는 모양새이다.
박영선 전 원내대표는 국가미래연구원, 경제개혁연구소, 경제개혁연대 공동주관으로 23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리는 '재벌개혁 실패, 반복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토론회에 패널로 참석한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김한길 박지원 박영선 '태풍 전야' 어떻게 움직일까
입력 2015-12-22 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