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절반 이상이 통일 이후 한국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할 것으로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통일부는 교육부와 공동으로 지난 10월 5일부터 11월 17일까지 전국 초·중·고 704개교 학생 11만9천551명과 교사 4천672명을 대상으로 '2015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를 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통일 이후 사회변화'를 묻는 말에 학생 응답자의 54.2%는 '좋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전년도 45.7%보다 8.5%포인트 높은 수치다. 반면 '어려워질 것'이란 응답은 34.1%에서 27.5%로 크게 줄었다.
학교별로 '좋아질 것'이라는 답변은 초등학생(65.7%)이 가장 많았고, 중학생(50.8%), 고교생(29.2%) 순으로 나타나 상급생일수록 통일 이후 전망이 부정적이었다.
'통일의 필요성'과 관련한 설문에 대해서도 지난해 53.5%보다 9.6%포인트 높은 63.1%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나, 초등생(73.9%)과 중학생(59.6%), 고교생(49.2%) 사이에는 온도차가 있었다.
학생들이 꼽은 통일이 필요한 이유는 전쟁위협 등 불안감 탈피(26.6%), 국력이 더 강해질 수 있기 때문(25.0%), 한민족(16.6%), 이산가족 문제 해결(15.7%) 등이었다.
통일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사회혼란(30.8%), 북한체제 거부감(28.1%), 경제적 부담(21.0%), 남북한 이질감(7.4%) 등이 꼽혔다.
통일 전망 시기와 관련해선 '10∼20년 이내'(29.5%)와 '20년 이후'(27.3%)가 다수를 차지했으며, 응답자의 72.4%는 '통일비용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남북통일이 어려운 이유로 꼽은 것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28.7%), 변하지 않는 북한 체제(23.3%), 남북한 차이(20.2%), 경제적 부담(12.7%), 통일 필요성 인식 부족(7.4%) 등이었다.
북한을 어떤 존재로 보는지는 학생의 50.5%가 '협력대상'이라고 답했고, 북한 주민에 대해서도 '지원대상'(43.2%)과 '협력대상'(28.4%)이란 답이 가장 많았다.
한편, 통일부 통일교육원은 내년부터 중학교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되는 만큼 이에 맞는 참여·체험 중심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각 시·도교육청과의 협업을 통해 교원 연수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청소년 54%, 남북통일되면 한국사회 더 좋아질 것”
입력 2015-12-22 1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