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최근 경기도에 한국민주주의전당(이하 ‘전당’) 건립을 일방적으로 추진하려는 움직임과 관련해 경남 창원시가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창원시는 22일 창원, 광주, 서울 공동건립 건의서를 대통령, 관련 정부부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등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창원시는 창원(3·15의거와 부·마항쟁)과 광주(5·18민중항쟁)가 우리나라 현대사에 있어 민주주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곳으로 민주주의전당 사업의 목적에 부합된다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체결한 협약서대로 창원, 광주, 서울 공동건립을 요구하고 있다.
권중호 창원시 행정국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경기도에 단독으로 건립키로 한 정부 방침이 무산됐지만 언제 또 사업이 재시도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전당은 창원, 광주, 서울 등 3곳에 공동 건립되어야 한다”면서 “내년부터 중앙부처와 관련단체를 방문해 본격적인 유치활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권 국장은 또 “전당이 세 곳에 공동 건립되어야 하는 당위성에 대해 안상수 창원시장이 역사적인 측면과 입지적 측면, 법 제정 취지의 측면에서 그 근거를 제시했다”며 “역사적 측면은 현대사에서 민주주의 발전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한 3·15의거와 부마항쟁 등을 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입지적인 측면에서 국립 3·15민주묘지와 3·15의거탑, 김주열열사 시신인양지(경남도기념물 제277호) 등 민주운동의 산물을 다수 보유한 살아있는 역사 공간이라는 점을 빼놓을 수 없다”며 “부지 확보면에서도 국립 3·15민주묘지 내 부지와 마산항 친수공간(수변공원)사업으로 확보된 민주공원 조성부지(4만1294㎡) 등은 유리한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법 제정 취지 측면에서도 권 국장은 “창원에서 일어난 3·15의거, 부·마항쟁은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 권위주의적 통치에 항거해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회복·신장시킨 활동”이라며 “민주화운동의 상징성이 짙은 만큼 공동 건립이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당 건립은 우리나라 민주화운동을 기념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2001년 7월 24일에 제정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 따라 출발하게 됐다. 그동안 창원, 광주, 서울은 독자 건립을 위해 유치 경쟁을 벌여 왔으나 2013년 11월 27일 정부의 중재로 3곳에 동시 건립을 약속하면서 협약서를 체결한 바 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경남 창원시, 한국민주주의전당 건립 관련 정부 방침에 반발
입력 2015-12-22 1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