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짝 인사는 없었다” 朴대통령, 총선용 개각 부담 털고 핵심 법안 통과 올인

입력 2015-12-21 18:34

박근혜 대통령이 21일 단행한 개각은 더 늦어질 것이라는 정치권의 예상보다 빨리 이뤄졌다는 것과 깜짝 인사가 없었다는 점이 특징으로 꼽힌다.

내년 4월 총선에 출마할 장관을 대상으로 한 이번 개각은 진작부터 예고돼 있었던 것으로, 애초 내년도 예산안이 처리된 후인 이달 초에 단행될 것이란 전망이 많이 나왔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지난 5일 프랑스 파리·체코 프라하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뒤 노동개혁 및 경제활성화 법안 처리에 우선 집중하면서 개각 시기를 늦춰왔다.

여권 내에선 공직자 사퇴시한(내년 1월14일)과 3주간의 인사청문회 일정 등을 고려할 때 크리스마스(25일) 전후가 개각 발표의 마지노선일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았지만, 청와대 관계자들의 답변은 "개각을 발표하긴 해야 하는데 시기를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때문에 여권 일각에선 "가능성이 낮긴 하지만 이러다 해를 넘겨 내년 초에 개각이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까지도 흘러나왔다.

핵심법안 처리 문제에 절박하게 몰두한 박 대통령이 개각 문제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으면서 개각 시기와 대상에 대해서는 관측만 무성하게 나오는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이날 전격적으로 개각을 단행했다. 청와대 핵심 참모들도 이날 오전에서야 개각 발표 사실을 인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모는 "이번주에는 개각이 이뤄질 것이라 짐작은 했지만, 언제 개각을 발표할지 전혀 알지 못했다"며 "대통령의 개각 발표 지시는 오늘 아침에 내려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이처럼 이날 개각 결심을 굳힌 것은 참모들에게 발표를 지시한 것은 "더이상 개각발표를 늦출 이유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핵심법안의 국회 논의가 임시국회 종료일인 내년 1월8일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큰 만큼 개각 문제를 먼저 정리하고, 법안 처리 문제에 전력을 기울이겠다는 의지도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개각이 지연되면서 개각이 예상되는 부처의 공무원들이 장관 교체로 인한 후속 인사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일손을 놓고 있다는 말이 나오는 것도 개각 시기가 당겨진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개각 부처나 후임자에 깜짝 발표가 없다는 점도 이날 전격적으로 개각이 단행될 수 있었던 이유로 꼽힌다.

박 대통령이 핵심법안의 국회처리 문제에 집중하면서 개각 문제에 대해선 참모들에게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이미 마음 속으로는 개각 부처와 후임자를 일찌감치 낙점해 놓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국회 상황과 향후 국정운영 일정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이날로 개각 발표 시기를 선택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양대 현안 중 하나인 개각 문제가 정리됨에 따라 청와대는 핵심법안 처리를 위한 총력 체제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