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이번 개각을 통해 '친박(친박근혜)계 핵심'으로 불리는 최경환 경제부총리·황우여 사회부총리의 '새누리당 동반 복귀'를 명령하면서 총선 정국에서 여권 지형에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이미 예견된 개각이긴 하지만 최근 공천룰을 둘러싼 계파 갈등이 표면화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거물급 중진 의원들이 여의도 귀환이 현실화함에 따라 당내 긴장 지수는 빠른 속도로 오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특별기구 인선안이 의결돼 당이 본격적인 총선 체제로 돌입한 가운데 구체적인 공천룰 논의를 놓고 친박-비박(비박근혜) 간 해묵은 계파 갈등이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금까지 친박계는 서청원 최고위원을 좌장으로, 수도권 3선 중진 홍문종 의원과 대통령 정무특보를 지낸 김재원·윤상현 의원 등이 주로 목소리를 내왔으나 '구심력'은 크지 않았다.
특히 최근 홍 의원의 '이원집정부제 개헌론'과 윤 의원의 '친박 대권론' 등이 제기됐을 때는 친박계 내부에서도 거센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나오는 등 일사불란한 모습을 찾기 어려웠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그러나 유기준 전 해양수산부 장관과 유일호 전 국토교통부 장관의 복귀에 이어 각각 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지낸 황 부총리와 최 부총리가 동시에 여의도로 돌아오게 되면서 상황은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물론 유일호 의원이 경제부총리로 '승진'하면서 다시 내각으로 돌아가게 됐지만 복귀하는 두 부총리의 중량감을 감안하면 그동안 비박계로 기울었던 당의 '무게추'는 균형 혹은 역전 양상을 보일 수도 있다.
그동안 당내에서 조용히 친박계의 중심을 잡아온 정갑윤 국회부의장, 이정현 의원과 함께 '신박(新朴)'을 자처한 원유철 원내대표 등이 본격적으로 목소리를 낼 가능성도 점쳐진다.
특히 이처럼 친박계의 '역습'이 가시화할 경우 김무성 대표를 중심으로 한 비박계도 가만히 앉아서 당하지만은 않겠다는 태세여서 그동안 내재됐던 당내 갈등이 수면위로 떠오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안철수 의원의 탈당에 이은 '연쇄 이탈' 현상으로 분당 사태가 현실화한 새정치민주연합과는 달리 새누리당은 성향상 극단적인 충돌이나 균열 양상으로 흐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공천특별기구 인선 초기 친박-비박계가 첨예하게 맞섰으나 논란 끝에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계파를 안배한 인선 명단을 발표했듯 일시적으로 충돌하더라도 결국은 '화합 모드'로 돌아갈 것이라는 낙관론인 셈이다.
한 친박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최경환 부총리의 경우 따르는 의원들이 많기 때문에 앞으로 당내에서 친박 진영의 구심점 역할을 할 것"이라면서 "그러나 총선이 가까워지면 각자 지역구에서 뛰기 때문에 당내에서 싸우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총선을 앞두고 벌써부터 전략공천 도입 여부와 당내 경선의 국민·당원 비율 조정 문제 등을 놓고 맞서고 있는 양대 계파가 극도로 민감한 공천룰 문제로 정면충돌할 경우 최악의 경우 지도부 와해로 이어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경제활성화 및 노동개혁 법안 처리를 놓고 철저한 공조 체제를 보이는 당·정·청이 이번 두 부총리의 여의도 복귀를 계기로 내년 박근혜 정부 4년차에 더 긴밀한 정책협력을 과시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실제로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19대 국회가 막바지에 있고 박근혜 정부가 임기 4년차를 맞이하는 내년 현 정부의 국정 운영에서 중심적 역할을 해줄 인사들"이라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최경환의 여의도 귀환” …친박 대 비박 여권 권력투쟁 점화되나
입력 2015-12-21 1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