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硏,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2.5%로 낮춰 전망

입력 2015-12-20 12:40
LG경제연구원은 20일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내년에 2.5%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LG경제연구원은 ‘2016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내년에 수출 부진이 계속되고 내수의 성장 기여도가 점차 약화될 것”이라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이같이 제시했다.

이번 전망치는 연구원이 지난 9월 발표한 2.7%보다 0.2% 포인트 낮다. LG경제연구원의 내년 성장률 수정 전망치는 정부의 3.1%는 물론 현대경제연구원(2.8%), 한국경제연구원(2.6%), 한국은행(3.2%), 한국개발연구원(3.0%)보다 낮은 수준이다.

연구원은 내년에 미국 경기의 둔화와 중국 경제의 성장 감속, 원자재 가격 하락 등으로 세계 경제 환경이 올해보다 좋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수출(통관기준)이 0.7%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소비와 건설투자 등 내수경기도 회복세를 지속하기 어려울 것으로 봤다. LG경제연구원은 “메르스로 위축됐던 소비의 회복 효과는 올해 대부분 소진돼 내년에는 사라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개별소비세 인하,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등 소비진작책은 미래 소비를 당겨쓰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추가로 강력한 정책이 없으면 내년까지 경기부양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고령화와 장기 성장에 대한 기대 저하로 소비성향은 내년에 더 하락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0%대에 머물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년에 유가 급락 요인이 줄면서 다소 오르겠지만 1.2%로 1%대 초반의 저물가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금융시장의 경우 미국의 금리 인상과 중국의 성장 저하라는 이른바 ‘주요 2개국(G2) 리스크’로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진단됐다. 시중금리는 미국 금리의 방향과 비슷하게 움직이면서 오름세를 나타내고 원화는 내년에도 약세를 보여 원/달러 환율이 연평균 1175원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낮은 성장세와 통화 약세를 고려할 때 내년에 1인당 국민소득은 올해처럼 2만7000달러 대에서 정체될 것으로 점쳐졌다.

LG경제연구원은 미국의 금리 인상이 시작됐지만, 우리나라의 통화정책은 당분간 완화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경제정책 방향은 단기적 경제활성화보다 장기적인 성장잠재력 확충에 초점을 둬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또 국내 주요 산업의 부실 우려가 커지는 만큼 구조조정을 차질없이 진행할 것을 강조했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