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 시간이 15분 이내로 짧은 사람은 15분이 넘는 사람과 비교해 위염 발생 위험이 최대 1.9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북삼성병원 서울종합건진센터 고병준 교수팀은 2007~2009년 건강검진자 1만893명을 대상으로 식사시간과 미란성 위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분석됐다고 17일 밝혔다. 미란성 위염은 스트레스 등으로 위 점막층이 손상되는 것으로 내버려두면 위궤양이나 위장출혈로 악화할 수 있다.
연구팀은 식시사간이 5분 미만이거나 5분 이상∼10분 미만인 사람은 15분 이상인 사람보다 위염 위험도가 각각 1.7배, 1.9배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이 같은 위염 위험도는 10분 이상∼15분 미만에서도 1.5배 높았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식사시간은 5분 미만 7.9%, 5분 이상∼10분 미만 40.2%, 10분 이상∼15분 미만 32.1%, 15분 이상 9.5%였다. 10명 중 9명은 위염 위험이 높은 15분 미만의 식사를 하는 셈이다.
고 교수는 “식사 속도가 빠르면 음식 씹는 횟수가 짧아 결과적으로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위산 노출 역시 많게 된다. 위산으로 인해 점막이 손상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또 “빠르게 음식을 먹으면 포만감을 덜 느끼게 돼 결국 과식을 하고 이 또한 위염 같은 위장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식사 15분 안에 후다닥… 위염 위험 2배 가까이 높다
입력 2015-12-17 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