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노조가 집권중인 현대자동차 노조가 16일 민주노총이 주도하는 정치파업에 참여했다. 현대차 노조의 정치파업 참가는 2008년 윤해모 위원장 시절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파업 이후 7년 만이다.
노조는 임금 단체협상과 무관한 ‘노동개혁 저지’를 파업 참가 명분으로 내세웠다.
현대차 노조는 해마다 파업을 했지만 ‘귀족 노조’란 비판이 거세게 일자 2000년대 후반부터 정치 파업 참여는 자제했다.
2010년과 2014년 이경훈 위원장 시절에는 타임오프 시행안 반대와 정권 퇴진을 위한 정치파업에 참여했지만 간부파업으로 한정해 생산라인을 멈추지는 않았다.
하지만 2년 만에 집권한 강성 집행부 주도로 7년 만에 다시 정치 투쟁을 시작했다. 현대차 노조 집행부는 지난15일 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16일 민주노총 총파업 시간에 때 맞춰 4시간 동안 작업 거부 등 파업을 벌이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이날 1조 근무자들은 오후 1시 30분부터 2시간, 2조가 오후 3시 30분부터 2시간 각각 파업에 들어갔다. 노조는 오후 3시 30분 민주노총 울산본부 주관으로 열리는 태화강 둔치 집회에 참가했다.
이번 정치파업으로 그동안 울산시민들에게 쌓아온 현대차 노조의 온건한 이미지가 하루 아침에 깨졌다.
금속노조 위원장 출신의 박유기 위원장은 2006년 현대차 위원장 때도 한·미 FTA 저지 파업 등 한 해에 10여 차례 정치파업을 비롯해 모두 45차례 이상 파업을 주도한 강성이다.
사측은 이날 파업으로 차량 2215대(매출차질액 457억원)의 생산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사측은 노조의 정치 파업 참여를 불법행위로 규정했다. 사측 관계자는 “정치파업은 명백한 불법이기 때문에 민·형사상 법적 책임을 철저히 묻고 또 파업 참가자에 대해서도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지역 상공계와 현대차 노조원들 사이에서도 파업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울산상공회의소는 “현대자동차 노조의 정치파업 결정으로 울산시민들의 큰 실망과 지역경제 전체의 위기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한다”고 밝혔다.
현대차 울산공장 3공장 조합원은 “이날 파업은 새로 집권한 강성 노조 집행부의 영향력을 과시하기 위해 결정 한 것 같다” 면서 “올해 임단협을 빨리 타결해야 하는데 교섭을 재개하자마자 정치파업부터 한다니 갑갑하다”고 전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현대차 노조, 가뜩이나 어려운데 '정치 파업'에 여론 싸늘
입력 2015-12-16 1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