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원장직대 류재형)은 한반도 해역의 평균 해수면이 지난 40년간 10㎝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16일 밝혔다.
해양조사원이 2009년부터 매년 발표한 해수면 변동률에 따르면 올해 산정한 해수면 상승률은 연평균 2.48㎜다. 해역별로 남해, 동해, 서해가 각각 2.89, 2.69, 1.31㎜로 나타났다.
올해 발표한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률(2.48㎜)은 IPCC(유엔 기후변화 국제협의체)가 발표한 전 세계 평균값(2.0㎜)보다 약간 높으며, 지역별 상승률도 다소 차이를 보였다. 최대 상승률은 포항에서 5.82㎜, 최소 상승률은 대흑산도에서 0.15㎜로 나타났다.
이러한 해수면 상승률의 지역적 차이는 지반 침하, 연안 개발에 따른 지형 변화 등 국지적인 요인과 해역별 수온 상승 차이에 따른 열팽창 효과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해양조사원 관계자는 “기후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양질의 해수면 관측자료 생산 및 제공과 더불어 정밀 분석을 실시하고 있다”며 “향후 국지적 해수면 상승 원인 규명과 함께 미래 상승에 대한 예측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우리나라 해수면 40년간 10cm 상승
입력 2015-12-16 1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