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중심·현장중심 경기교육행정을 위한 경기도교육청의 교육전문직원 인사제도가 큰 폭으로 변화한다.
경기도교육청은 14일 이 같은 취지의 2016학년도 인사제도 개선안을 발표하였다.
개선안에 따르면 교육행정 중추인 교육장, 교육연수원장, 장학관은 추천제를 폐지하고 100% 공모제로 선발한다. 전문직 경력과 무관하게 학교관리자 전체로 지원 대상을 확대, 현장평가강화·교육생애평가·발표 및 맞춤형 면접 심사 등을 통해 현장교원으로서의 헌신성과 전문성 검증을 통해 선발한다.
그동안은 교육전문직 경력이 있는 경우 추천제, 교육전문직 경력이 없는 경우에는 공모제로 이원화해 운영해 왔다.
종전 퇴임관료, 교수중심의 공모심사위원회는 전문성 있는 현장 교원, 학부모, 지역사회 인사 중심으로 구성하면서 외부인 비중을 50% 이상으로 확대했다.
특히 인맥 중심의 폐해를 차단하고자 심사기준에 현장평가 점수를 20%로 높였으며 현장평가에서 60%(10점 만점에 6점) 미만을 받으면 발표·면접 점수와 무관하게 임용대상에서 제외한다.
기관장과 장학관 임용을 전후한 학교 근무기간도 2년 이상으로 못박아 교육현장의 안정을 유도한다. 따라서 현재 재임 학교에서 2년 이상 근무해야 하고 정년 잔여기간이 기관장은 4년, 장학관은 5년 이상 남아야 응모할 수 있다.
교육장의 경우 통상 임기 2년 중 1년 단위로 평가해 2회까지 임기를 연장하면 최장 3년 재임할 수 있다.
교육혁신 실천의지와 전문성이 높은 인재를 임용하기 위해 장학사, 연구사 등 교육전문직원 임용 제도 개선 방안도 마련됐다.
중등전문직의 경우 전공논술 대신 정책논술 시험을 도입한다. 정책개발 및 현장지원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기혁신교육정책과 현장을 유기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전문직 시험 응시횟수를 3회로 제한하는 한편 교육경력(12년 중 휴직기간 제외)을 강화하고 보직교사 경력 1년 근무 조건을 다시 추가했다. 3차 시험에서는 동료들의 근무평가를 10% 반영한다.
특정 지역에 5년 이상 의무 복무하는 ‘지역전형’과 특정직무 수행 후 현장으로 복귀하는 ‘순환보직전형’도 도입한다. 소외지역의 교육활동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마을공동체와 연계된 경기혁신교육을 위한 방안이다.
이범희 교원정책과장은 “경기교육의 약속과 중점정책을 실천할 수 있는 전문성과 실천의지, 현장중심·학생중심의 헌신성을 가진 인사를 발탁, 중용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도교육청은 지난 1년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교원인사제도 개선을 추진해 왔다. 이번 발표에서 제외된 교원인사제도 개선안은 내년에 발표할 예정이다.
?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1년 동안 교육공무원인사제도 개선 T/F팀을 발족, 현장의견수렴, 전문가 자문, 교육청각 부서 의견수렴, 인사정책연구 등을 통해 ‘교육장, 장학관 공모제 실시’, ‘교육연수원장 공모 방안’, ‘교육장 평가 방안’, ‘교육전문직원 임용제도 개선방안’을 준비해 왔다.
? 소외지역의 교육활동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마을공동체와 연계된 공통가산점과 선택가산점의 불합리한 요소를 우선적으로 개정하고, 교장중임요건강화, 교감보직제, 교감초빙제 등 다양한 방안에 대한 인사정책 연구를 실시하여 교원승진에 대한 철학적 토대를 공고히 하고,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최종 확정안을 마련한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경기교육청, 학생중심·현장중심으로 교육전문직원 인사제도 큰 폭 변화
입력 2015-12-14 2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