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현 상황 국가비상사태”…鄭의장에 법안 직권상정 촉구

입력 2015-12-14 15:21

새누리당은 14일 새정치민주연합의 분열로 선거구 획정과 노동개혁 관련 5법·경제활성화법 등의 처리가 지연되고 있는 것과 관련, 정의화 국회의장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새누리당은 이날 국회에서 개최한 의원총회에서 현 상황을 '국가비상사태'로 규정하고, 정 의장이 15일 열릴 본회의에 여야가 합의처리하기로 한 법안을 직권상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무성 대표는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상민) 법사위원장이 법안 심사 거부를 선언했는데 개인 생각으로 국민을 위한 법안을 심사하지 않겠다는 것은 직무유기"라면서 "전 세계적으로 경제위기가 계속되는 상황에 필요한 법은 국회의장께서 직권상정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새정치연합의 내분으로 국회가 비상사태에 접어들었고, 국회 비상사태가 곧 국가 비상사태로 접어들기 일보 직전"이라며 "국가비상사태로 이어지기 전에 국회의장께 결단과 리더십을 발휘해달라"고 건의했다.

이인제 최고위원은 "국회의 입법 기능이 (야당으로부터) 심각하게 훼손당하는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에 끌려갈 수는 없다"며 "결단의 시점이 오고있다"고 정 의장에게 직권상정을 거듭 요청했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야당이 입법을 거부하는 이 사태가 국회비상사태가 아니면 어떤 것이 비상사태냐"며 경제활성화법, 테러방지법 등을 직권상정하지 않는 것은 "국회의장의 직무유기"라고 주장했다.

이장우 대변인은 "야당의 (분열) 상황으로 경제활성화법안, 북한인권법안, 테러방지법안 입법이 올스톱됐기 때문에 실질적인 국가비상사태"라며 "이런 상황에서도 국회의장이 직무를 수행하지 않으면 해임결의안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의원총회에서는 결선투표제 도입 등 내년 4·13 총선에 적용할 후보 결정을 위한 경선 룰 문제를 놓고 계파 간 격론이 예상됐으나, 선거구 획정 등에 대한 논의에 집중하느라 공천 관련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다는 게 참석자들의 전언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