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14일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민주연합 탈당에 가히 융단폭격 수준의 비판을 가했다.
일단은 내년 4·13 총선을 앞두고 야권의 분열로 여권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이참에 그 틈을 더욱 벌려 놓음으로써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정당정치가 누더기가 됐다", "동업장사는 실패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는 식의 자극적인 표현이 동원됐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탈당과 분당을 일으켜온 우리 정당사는 또 누더기가 되고 있다"면서 "참으로 부끄럽고 안타깝다"고 말했다.
초·재선 중심의 아침소리 소속인 이노근 의원은 자체 회의에서 "정치적인 희극 드라마이자 비극"이라면서 "돈이 없어서 동업장사를 하는 사람이 많은데 결국 실패로 귀결된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공세 수위가 높은 만큼 위기감도 크다는 방증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야당 분열의 후폭풍이 여당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위기에 대처하는 계파간 시각도 판이하다.
특히 총선 후보를 결정할 공천 룰에 대해 친박(친 박근혜)계는 혁신 경쟁을 위한 전략공천의 필요성을, 비박계는 내분 차단 및 외연 확대를 위한 상향식 공천의 강화를 주장하며 전혀 다른 해법을 내놨다.
새정치민주연합의 분열이 당장은 호재이지만 길게 보면 새누리당의 갈등을 야기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이뤄진 탈당과 분당은 결국 대선후보 쟁취싸움이나 당내 공천권 지분싸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라면서 "당내 분열과 갈등을 막는 최선의 방법은 공천권을 내려놓고 기득권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전략공천을 포함해 내리꽂기식 공천을 반대하면서 자신의 '국민공천제'를 통해 여권내 분열을 막아야 한다는 의미다.
반면 친박계 맏형 격인 서청원 최고위원은 "총선이 코앞에 다가왔는데 공천 특별기구의 인원도 선정해야 하고 룰도 정해야 한다"면서 "말은 그럴싸하게 하고 사심을 갖고 하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서 최고위원이 그동안 공천 특별기구의 위원장을 비롯한 인선과 공천 룰을 놓고 김 대표와 사사건건 부딪혔던 것을 반추해본다면 서 최고위원이 언급한 '사심'은 김 대표를 겨냥했을 가능성이 크다.
친박계에서는 결국 좌절되기는 했지만 김 대표의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나 그 이후 경선에 참여하는 당원 대 국민의 비율을 현행 당헌·당규의 50:50이 아닌 30:70으로 바꾸려는 게 현 구도를 유지해 김 대표가 대선까지 노리는 프로젝트라는 의구심을 품고 있다.
한 친박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야당은 총선을 앞두고 여러 세력이 통합의 이벤트를 하고 새로운 인물을 수혈하는데 우리만 기존 얼굴이 나가면 경쟁이 되겠느냐"면서 "외부의 명망가를 끌어들여 혁신 경쟁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수도권의 비박계 의원은 "전략공천이나 인위적인 물갈이를 통해 박 대통령이 친정체제를 강화하려 한다면 결국 여권은 공멸한다"면서 "상향식 공천으로 공정한 경쟁을 벌여야 외연을 확대할 수 있다"고 맞섰다.
일각에선 안 의원의 독자세력화로 내년 총선에서 여야간 중도층 공략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하며 보수색채가 강한 여당이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과거에는 야권이 분열한 후 통합한다고 해도 진보 진영 내에서만 벌어졌지만 이번에는 안철수세력이 새정치연합과 차별화해 중도층을 포섭하겠다는 점을 제1목표로 삼고 나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전체 야권의 이념적 스펙트럼이 중도세력까지 확장돼 결과적으로 여야간에 중도층 표심을 겨냥한 싸움이 격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야권이 각개 약진을 한 뒤 총선을 코 앞에 두고 새정치민주연합과 정의당, 호남을 중심으로 하는 천정배신당과 안철수세력까지 4개 세력이 '헤쳐모여'를 통해 박근혜 정부와 1 대 1 구도를 형성한다면 파괴력이 기존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우려를 반영해 새누리당 내부에서 이른바 '좌클릭'으로 표현되는 '중도 노선 강화' 목소리가 커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유승민 사퇴 파동 이후 새누리당 내부에선 보수적 색채가 더 강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따라 총선을 앞두고 야당의 이념적 스펙트럼 확대에 위기감을 느끼는 여당내 서울 및 수도권 출신의 중도 성향 의원들이 당의 탈(脫)보수화를 전면에 내세우는 한편, 청와대와의 관계에서도 수평적 당청 관계를 요구할 경우 당내 갈등이 표면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정당정치가 누더기가 됐다” 與,안철수 탈당에 융단 폭격
입력 2015-12-14 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