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F-15로 北 폭격 지시했으나…” 이동관이 밝힌 연평도 포격 사태

입력 2015-12-13 20:36
재임시절 F-15 무기를 살펴보는 이명박 전 대통령. 사진=국민일보DB
재임시절 F-15 무기를 살펴보는 이명박 전 대통령. 사진=국민일보DB
이명박 정부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이 북한의 2010년 연평도 포격 도발 당시 이명박 대통령은 F-15 전폭기를 동원해 보복하라고 지시했지만 군의 만류로 확전을 자제해야 했다고 주장했다.

이동관 전 수석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13일 발간한 회고록을 통해 연평도 포격 사건을 떠올리며 “(대통령은)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 공격을 하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이 강경대응 지시는 군수뇌부가 유엔사령부 교전규칙을 들어 이행이 불가하다고 반대함에 따라 실현되진 못했다. 확전 자제가 대통령 입장인 것처럼 알려졌으나 이 전 대통령이 의외로 강경했다고 전한 것이다.

이동관 전 수석은 회고록 <도전의 날들-성공한 대통령 만들기(2007~2013)에서 “연평도 상공까지 출격했던 F-15 전폭기 두 대를 활용해 공격을 가하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지시에 대해서 군 관계자들이 ‘미군과 협의할 사안’이라며 주저했다고 한다”고 밝혔다. 5년전 일이지만 읽기에 따라선 소극적 대응을 군의 책임인 듯 전가하는 것으로 느껴져 파장도 예상된다. 이 전 수석은 또 “오히려 민간인 출신 장관 및 수석들이 적극 대응을 요구하는 분위기였다”라며 “한심한 것은 출격한 F-15 전폭기 두 대에 공대지 미사일이 장착조차 돼 있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