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의 읍참마속...측근 정리나섰다” 인적쇄신 신호탄…安 붙들기 염두

입력 2015-12-10 19:00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0일 노무현 정부 청와대 출신 친노(친노무현) 인사 6명의 총선 불출마를 설득한 것은 내년 총선 때 인적 쇄신의 신호탄을 올린 것으로 해석된다.

또 당 내홍에 맞서 총선을 주도적으로 준비하겠다는 '마이웨이' 의지를 재천명한 것이자, 탈당 배수진을 친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탈당 명분을 약화시키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이날 조치는 당내에 만연한 '친노 패권주의'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목적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내년 총선 때 친노 진영이 공천권을 전횡할 것이라는 비노(비노무현) 진영의 불신이 강한 상태에서 읍참마속을 단행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김영배 서울 성북구청장과 민형배 광주 광산구청장은 총선 출마를 결심한 상태였지만 문 대표가 새정치연합의 현역의원과 겹치는 지역이고 당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며 양보와 헌신을 부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총선 출마를 준비하는 기초단체장의 사퇴 시한은 오는 15일이다.

이호철 전 민정수석비서관과 양정철 전 홍보기획비서관, 윤건영 당대표 특보 등 3명에 대해서도 본인들의 불출마 입장에도 당 일각에서 출마설이 계속 돌자 "왜 진작 공개적으로 (불출마) 입장표명을 하지 않았느냐"며 "내가 대표할 동안 정치할 꿈도 꾸지 말라"고 역정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표가 측근들부터 손을 댐으로써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천명한 것으로도 받아들여진다. 현재 진행중인 현역의원 하위 20% 교체를 위한 평가작업을 놓고 비주류의 저항이 만만찮은 상황에서 강력한 물갈이 공천에 대한 의지의 표현이자 명분 축적용이라는 것이다.

문 대표 측은 "당의 인적쇄신과 기강 확립을 위한 신호탄으로 보면 된다"며 "앞으로 추가적인 조치가 있을 수 있다"고 언급해 문 대표의 주변 정리를 위한 후속조치가 이뤄질 가능성을 시사했다.

앞서 문 대표는 '시집 강매' 논란이 불거진 '복심' 노영민 의원에 대해 당무감사원에 엄정감사를 지시하기도 했다.

탈당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안 전 대표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한명숙 전 국무총리에 대한 당적 정리 요청이 대표적이다. 안 전 대표는 한 전 총리의 유죄 확정 후 문 대표가 두둔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자 당내 온정주의를 문제삼으며 문 대표의 태도를 비판한 바 있다. 자신이 제시한 혁신안에서 유죄 확정시 당원 제명을 요구하기도 했다.

또 안 전 대표 측이 거론한 육참골단(肉斬骨斷·자신의 살을 베어내주고 상대의 뼈를 끊는다는 뜻)의 실천으로 볼 수 있다. 안 전 대표 측은 문 대표가 육참골단을 언급하자 '육참(자신의 살을 베어냄)'부터 실천해야 한다는 태도를 보여왔다.

다시 말해 문 대표가 지난 4일 '안철수표 10대 혁신안'의 당헌·당규화를 지시한 데 이어 일부 혁신안을 실제로 실천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안 전 대표와의 거리를 좁히고 탈당 명분을 약화하려는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비주류 내에서는 문 대표가 '때늦은 결단'을 내렸다는 비판론이 나온다.

한 재선 의원은 "한 전 총리 당적 정리나 측근의 불출마 모두 템포가 늦은 것 아닌가 싶다"며 "미리미리 했어야 하는데, 자꾸 밀리고 밀려서 하는 것처럼 보여 임팩트가 약하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 측도 평가절하하는 분위기다.

안 전 대표의 한 측근은 "여론이 평가할 것"이라면서도 "국민정서와 과연 부합될까라는 생각이 든다. 불출마 대상자 중 상당수는 이미 불출마 결정이 돼 있던 상태인데 얼마나 설득력이 있겠나 싶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