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7월 경기도 부천시의 일반구 3곳이 모두 폐지되고 36개 동 주민자치센터 가운데 10곳이 행정복지센터로 전환된다.
부천시의회는 10일 제209회 본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핵심으로 한 ‘부천시 구 및 동의 명칭과 구역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안’을 의결했다.
구청장을 기초자치단체 시장이 임명하는 일반구의 폐지는 전국에서 처음이다. 부천의 일반구는 원미·소사·오정구 3곳이 있다.
시는 시의회의 의결에 따라 내년 6월말까지 3개 일반구를 없애고 7월 1일 10곳의 행정복지센터(일명 책임동 또는 광역동)를 출범한다.
앞서 행정자치부는 지난달 13일 부천시의 구 폐지와 행정복지센터 설립을 승인했다.
사회복지·청소·교통·안전·도시관리 등 구의 역할이 행정복지센터로 이관됨에 따라 3개 구의 공무원들도 10개 행정복지센터로 분산 재배치된다.
행정복지센터 10곳은 인구 7만∼10만명을 기준으로 기존 2∼5개 동 가운데 중심이 되는 동에 설치된다.
행정복지센터는 센터장(4급), 4명의 5급 과장, 50명 안팎의 직원으로 구성된다.
행정복지센터는 인구가 가장 많은 원미구에 5곳, 소사구 3곳, 오정구 2곳에 각각 설치된다.
행정복지센터로 바뀌지 않는 기존 26개 동은 현재와 같이 민원서류 발급 등 행정과 주민자치 업무를 주로 맡으면서 단계적으로 행정업무는 복지센터로 넘기고 주민 자치업무만 담당한다.
행정단계를 시→구→동 주민자치센터의 3단계에서 시→동 2단계로 축소, 행정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시와 동 사이에 끼여 역할이 모호한 구청 공무원들을 일선 행정업무에 배치, 주민 밀착형 행정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권역별로 고루 행정복지센터가 설치돼 2배 이상 인구 차이로 발생하는 구청간 행정의 불균형도 해소된다.
반면 행정복지센터 설립으로 10명의 센터장을 기존 구청장과 같은 4급 간부 공무공원이 맡게 돼 4급 간부 공무원 7명이 증가한다.
구 폐지의 진정한 의미는 행정복지센터로 전환되지 않은 26개의 기존 동을 없애 완벽한 2단계 행정 라인을 구축하는 것이다.
그러나 조직 축소가 쉽지 않아 ‘반쪽 구 폐지’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김만수 부천시장은 “구가 시와 동 주민자치센터에 끼여 역할이 애매하고 그러다 보니 직원들의 역량이 발휘되지 않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구를 폐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시장은 “주민에 더 가까이서 청소나 교통, 복지 업무를 신속하게 해결하고 행정효율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부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부천시의회 내년 7월 전국 최초 일반구 3곳 폐지 행정복지센터 10곳으로 전환 의결
입력 2015-12-10 1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