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표적 지일파 인사로 꼽히는 데니스 블레어 전 미국 국가정보국장이 독도를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국제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한국의 고유영토인 독도를 일본이 의도적으로 국제화하려는 전략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내에서 친일 여론형성의 첨병 역할을 하는 사사카와(笹川) 평화재단 이사장인 블레어 전 국장은 지난 8일(현지시간) 헤리티지재단이 ‘인도·태평양의 전략적 컨센서스’라는 주제로 주최한 세미나에서 “독도·다케시마(독도의 일본어 표기)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요지의 주장을 폈다.
블레어 전 국장은 “중국이 이해당사자로서 개입해있는 도서분쟁은 군사적 힘이 동원되고 있다”며 “1996년 대만 총통선거를 앞둔 미사일 발사, 센카쿠 열도를 둘러싼 군사훈련, 남중국해에서의 인공섬 건설 등이 대표적인 예”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다케시마·독도, 또는 독도·다케시마 문제는 이해당사자 사이에 서로 공유된 이해(理解)가 있고 싸울만한 가치가 없다”며 “외교적 해법으로 궁극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독도와 다케시마를 병용해 마치 양쪽의 주장이 타당한 분쟁지역이라는 인상을 줬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사사가와 이사장 “독도 국제화해야”…일본, 교묘한 ‘독도분쟁화’ 기도
입력 2015-12-10 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