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소나무 재선충병에 대응하기 위한 특화전략 시급

입력 2015-12-09 14:09
막대한 예산투입에도 불구하고 피해가 확산되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제전략에서 벗어나 특화전략이 수립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제주도는 ‘2015년 제주맞춤형 소나무재선충병 조사연구 및 방제전략 수립 용역' 최종보고서를 통해 9일 이같이 밝혔다.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용역보고서에서 보존지역을 설정하는 등 특화전략이 필요하다며, 보호수 관리방안으로 소나무재선충병 위험 조기예찰시스템 도입 필요성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절대예찰구역으로 2㎞, 확대예찰구역으로 3㎞ 지역을 각각 설정한 뒤 항공사진 촬영조사와 함께 계절별 순회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고사목 제거작업에 중점을 둔 방제보다는 보존지역을 정해 선택과 집중을 통한 문제해결이 가능하도록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보존구역에서는 보호대상나무를 선정해 육안조사·송진조사·진단키트를 활용한 주기적인 예찰을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곶자왈 지역의 맞춤형 방제전략으로는 대형기계 진입 금지, 곶자왈 역사·문화 유적지 훼손 방지, 선제적 예방방제 등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특히 예산범위 내 설계용역·사업발주로 피해목 잔량에 대한 방제대책 미흡, 담당공무원들의 잦은 인사이동에 따른 전문성 부족 등이 반복적인 재선충병 발생 원인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제주지역에서 재선충병이 발견된 것은 2004년으로 본격적인 확산은 2013년부터 시작됐다. 이후 대대적인 방제 작업이 진행됐지만 재선충병 감염률이 50%에 달하는 지역이 생길만큼 피해가 극심한 실정이다.

제주도는 2013년부터 최근까지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에 약 1000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했지만 매년 30만 그루 이상의 소나무가 재선충병에 감염되고 있다.

올해 11월말 기준 제주도 전체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 규모는 34만9000그루로 조사됐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