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청이 노동개혁 5개 법안 가운데 야당이 반대하는 기간제법과 파견법의 명칭을 노동자들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준다는 지적에 따라 명칭까지 바꾸기로 했다.
김무성 대표는 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기간제법은 '비정규직 고용안정법'으로 바꾸기로 했다"면서 "고용기간을 더 늘려서 비정규직의 고용 안정을 돕는 법으로, 비정규직 근로자의 80% 이상이 빨리 통과되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파견법에 대해서도 "이름을 '중장년 일자리 창출법'으로 바꾼다"면서 "노동개혁 5법을 보면 근로자에게 불이익 되는 내용이 전혀 없는데 반대만 일삼는 야당이 도저히 이해가 안된다"고 했다.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이 지난 6일 월례 경제브리핑에서 기간제법 및 파견법을 각각 '비정규직 고용안정법', '중장년 일자리법'이라고 부르면서 연내 국회 통과를 종용한 것과 보조를 맞춘 것이다.
원유철 원내대표 회의에서 "최근 노동개혁을 요구하는 청년들 목소리도 거세지고 있다"면서 "노동개혁을 좌초시키는 것은 젊은이의 꿈과 희망인 일자리를 포기시키는 것과 다름없다"고 가세했다.
당 노동시장선진화특별위원장인 이인제 최고위원은 새정치연합의 '유능한 경제정당위원회'가 최근 내놓은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4대 해법'을 언급하며 "비정규직 법안은 절대 처리 못한다며 심사절차를 거부한 야당이 비정규직 시장의 개혁 방안을 발표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5개 노동개혁 법안을 일괄해서 조속히 심사하고 국민이 보는 앞에서 치열하게 (TV) 생중계로 토론하자"면서 "야당이 필요로 하는 노동단체도 다 나와서 의견을 교환하면 된다"고 제안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당청, 노동개혁 5개법언 명칭도 바꿔…노동개혁 '총력전'
입력 2015-12-09 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