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룰에 대한 새누리당 내 친박(친 박근혜)계와 비박(비 박근혜)계가 공개적으로 충돌했다.
지난 6일 밤 비공개 긴급 최고위원회의 만찬을 통해 도입키로 합의한 결선투표제를 두고 계파를 대표하는 중진 의원들 간에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비박계 중진인 이재오 의원은 9일 당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경선에 참여하는 당원의 비율을 줄이는 게 신인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이라면서 "또 결선투표제는 1차에서 이긴 후보가 2차에서 뒤집어 질 경우 선출된 후보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본선 경쟁력을 현저하게 약화시킨다"고 말했다. 그는 “의원총회에 말 한마디 안하고 기정사실화하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 합의 자체를 인정하지 못하겠다는 뜻까지 내비쳤다.
반면, 범친박계로 분류되는 이인제 최고위원은 "1등 후보자가 50%를 넘지 않으면 예외 없이 1·2등을 놓고 결선투표를 해야 한다"면서 "결선투표제는 경선의 한 방식으로서 당헌·당규하고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했다. 이 최고위원은 "결선투표 없이 하면 기득권자가 거의 100% 다 되는데 어떻게 공정한 경선이 되느냐"고 했다.
그러자 비공개 만찬의 참석자였던 김을동 최고위원도 "전국에서 1차 투표에 득표율 50%를 넘는 데는 전무할 것"이라면서 "그렇다면 거의 전국에서 결선투표제를 해야 하는데 더욱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재반박했다.
친박계가 주축인 국가경쟁력강화포럼이 이날 국회에서 개최한 송년 세미나에는 소속 의원만 40여명이 참석해 문전성시를 이뤘다. 이들은 세미나 후에도 오찬을 함께 하면서 결속을 다졌다.
포럼은 대통령 정무특보를 지낸 윤상현 의원의 주도로 열렸으며, 장관 재임 동안 당을 떠났던 유기준 유일호 의원이 가세했다.
유기준 의원은 모두 발언에서 "총선이 불과 넉 달 정도 남았는데 총선을 치를 여러가지 준비가 마련돼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 안타깝다"면서도 "오늘 워낙 중요한 주제에 대한 토론을 하기 때문에 더 말씀을 드리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추가 언급은 삼갔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새누리당 결선투표제 '공개 충돌'…친박계는 세 과시
입력 2015-12-09 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