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 해수담수 수돗물 공급 다시 연기…논란 증폭

입력 2015-12-06 20:22
부산시가 해수담수 수돗물을 기장군 주민들에게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가 하루 만에 다시 ‘공급 연기’를 결정하면서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먹는 물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를 부산시가 ‘밀어붙이기식’으로 강행의지를 보이면서 주민들이 항의방문과 1인 시위, 등교거부를 계획하는 등 이번 사태의 후폭풍이 거세질 전망이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7일부터 기장해양정수센터에서 하루 2만1000t의 수돗물을 기장군 전역에 공급한다고 지난 4일 발표했다.

지난 1년간 수질검사를 한 결과 방사성물질은 검출되지 않았고, 먹는 물 수질기준에도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이유에서다.

기장군 주민 100여명이 해수담수 수돗물 공급방침에 반발해 4일 저녁 기장군청으로 몰려가 1박2일간 농성을 벌였고, 상수도사업본부는 주민 의견을 더 듣겠다며 공식 발표 하루 만에 공급계획을 연기하겠다고 밝혔다.

기장군 주민들의 반발이 확산되고 기장군수는 부산시의 일방적인 해수담수 공급방침을 묵과할 수 없다며 1인 시위에 나선다.

6일 기장 해수담수화반대주민대책위에 따르면 기장군 내 초등학교 3곳의 학교운영위원회와 학부모회에서 해수담수화 수돗물 공급방침에 항의하는 뜻으로 등교거부를 결의했다.

대책위는 7일 등교시간에 해당 학교 앞에서 학부모들이 해수담수화 수돗물 공급 반대를 요구하는 1인 시위를 하고, 100여명의 주민이 부산시·시의회를 항의 방문을 하기로 했다.

오규석 기장군수도 7일 정오부터 1시간 동안 부산시청 앞에서 “주민동의 없는 해수 담수 공급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1인 시위를 벌이기로 했다.

기장해양정수센터는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4만7585㎡ 부지에 ‘역삼투압 막 여과’ 공정을 사용한 해수담수화 시설이다.

국·시비, 민자 등 1954억원을 들인 이 시설은 2014년 12월 완공됐다. 하루 4만5000t의 수돗물을 생산할 수 능력을 보유했다.

하지만 주민들이 고리원전에서 11㎞ 떨어진 바다에서 채취한 물로 만든 수돗물을 신뢰할 수 없다며 반발하면서 해수담수화 시설 상업운전은 계속 연기돼 왔다.

상수도사업본부는 “고리원자력본부 인근에 있는 관계로 미국국제위생재단(NSF)을 비롯한 5개 전문기관에서 104차례에 걸쳐 72종을 검사했으나 우려했던 방사성 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며 “기장 주민으로 구성된 수질검증연합위원회에서도 80여 차례 수질검사를 했으나 방사성물질은 한 번도 검출되지 않았고, 먹는 물 수질기준에도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왔다”고 강조했다.

반면 기장 해수담수공급반대주민협의회, 기장읍 이장단, 장안 주민자치위원회, 일광 주민자치위원회가 참여하는 기장해수담수대책협의회는 “안전성이 인정된 바 없는 물을 일방적으로 공급하려 한다”며 해수 담수 공급계획 철회를 요구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