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외 출마자들이 울고 있다” 불공정 게임룰에다 선거구 미획정까지

입력 2015-12-06 08:04

내년 4·13 총선이 4개월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치 신인과 원외 인사들이 바짝 애를 태우고 있다.

'현직 프리미엄'을 십분 활용하는 현역 의원들과는 달리 지역구 유권자들에게 얼굴을 알릴 기회가 극도로 제한되는 상황에서 선거구 획정마저 지연되면서 '손발'이 묶인 상황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오는 15일부터 예비후보 등록을 하더라도 연말까지 선거구획정이 확정되지 않으면 다음달부터는 선거구가 사라지면서 예비후보 자격마저 잃는 최악의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어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원외 당협위원장과 '금배지'에 첫 도전하는 신인들은 불공평한 '게임의 룰'의 대표적 사례로 현역 의원들의 의정보고서와 민원의 날 행사 등을 꼽았다.

제 16,18대 국회의원을 지내고 현재 새누리당 제2사무부총장을 맡고 있는 박종희 경기 수원갑 당협위원장은 6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19대 국회 들어 의정보고서가 완전히 '선거 찌라시'로 변질됐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박 위원장은 "예비후보들은 등록 후에도 총 가구의 10%밖에 홍보물을 돌릴 수 없는데 의정보고서는 형식이나 매수 제한도 없어 완전히 불공정 게임"이라면서 "이런 법을 고치지 않고 무슨 공정한 경쟁을 이야기하느냐"고 반문했다.

같은 당 후보로 강원도 원주에서 출마를 준비 중인 박정하 전 제주특별자치도 정무부지사도 "현역 의원들은 의정보고회 등을 통해 사실상 선거운동을 마음껏 할 수 있다"면서 "반면 정치 신인은 예비후보 등록 이전에는 할 수 있는 게 아무 것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의정보고서 외에도 현역 의원들은 지역구에서 '민원의 날'을 통해 유권자들에게 얼굴을 알리고, 각종 행사에도 마음대로 나갈 수 있지만 우리는 명함조차 돌릴 수 없다"고 토로했다.

여야간 협상 난항으로 이미 국회 처리시한(11월 13일)을 넘긴 선거구획정이 늦어지는 것도 '비(非) 현역'들로선 답답한 상황이다.

정치권이 올 연말까지 새로운 선거구 획정안을 확정하지 못해 예비후보 등록이 무효가 되면 선거사무소 개소나 홍보물·명함 배포 등 기본적인 선거운동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분할 혹은 통합이 거론되는 지역구에 출마하는 인사들은 선거사무소를 정확히 어디에 내야 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주변 선거구와 통합설이 제기되는 서울 중구 출마를 선언한 김행 전 청와대 대변인은 "최근 답답한 마음에 당에 항의하러 갔더니 어떤 의원이 '선수는 룰을 쫓아가지 말고 무조건 뛰라'고 하더라"며 "지금 선거는 경쟁력이 아닌 기득권이 있는 후보가 유리한 구조"라고 지적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정 경기 파주을 당협위원장은 "연내 선거구 획정이 안돼 예비후보 등록이 무효화하면 선거구가 획정된 뒤 또다시 등록해야 할 텐데, 경제적 비용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며 "현역 의원들이 기득권을 지키느라 공정한 경쟁이 치러질 '링' 자체를 만들어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북 전주 지역에서 야당 후보로 출마를 고려 중인 홍석빈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도 "통·폐합이 예상되는 선거구에서는 이미 지역의 이해 관계자들 간 불협화음이 생기고 있다"며 "선거구 조정 지역에서 뛰는 주자들 입장에선 어떻게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새정치연합 원외 당협위원장 128명은 지난달 30일 성명을 내고 조속한 선거구 획정을 요구하기도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