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의 핵심인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국회 복귀가 임박한 가운데 내년 총선 공천룰을 둘러싼 비박(비박근혜)계와의 갈등이 재점화할지 주목된다. 특히 7일 최고위원회의와 오는 9일 국가경쟁력강화포럼이 공천룰 논의가 다시 불붙는 계기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최고위는 공천특별기구 구성 문제를 김무성 대표, 원유철 원내대표, 서청원 최고위원의 '3인 회동'에 위임했으나 서 최고위원은 격론 끝에 "더 이상 모임이 무의미하다"고 선언한 상태다.
결국 특별기구 인선은 물론 당내 후보경선 때 반영될 일반국민-당원 여론조사의 방식 및 비율 등 공천룰의 밑그림을 놓고 최고위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면서 자연스럽게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오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재로선 국민 여론의 반영 비율을 최소 70% 이상으로 높이자는 김 대표 측을 현행 당헌·당규대로 50%만 반영하자는 서 최고위원 등 다른 최고위원들이 포위 공격하는 형국이 예상된다.
이어 국가경쟁력강화포럼에선 공천룰 논의가 한층 거세게 증폭될 가능성이 있다. 친박계 핵심으로 꼽히는 윤상현 의원이 주최하는 이 포럼은 사실상 친박계의 모임으로 일컬어진다.
친박계에선 "단순 송년회 이상의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고 손사래를 치지만 몇몇 의원은 벌써부터 "공천룰과 관련해 한마디 하겠다"고 단단히 벼르는 모습이다.
지난해 12월 30일 열렸던 송년회에서도 유기준 의원과 윤상현 의원이 김 대표를 겨냥해 "당을 사유화한다"거나 전당대회 득표율 29%인 김 대표가 "92%의 득템('수확'이라는 의미의 은어)을 하고 있다"고 맹폭을 퍼부은 바 있다.
특히 이번 포럼이 '친박 실세'로 꼽히는 최 부총리의 복귀 시점과 맞물릴 경우 당내 미묘한 파장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새해 예산안을 마무리 지은 최 부총리는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과 함께 마지막 남은 '정치인 장관'으로, 조만간 단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개각에서 여의도 복귀가 전망된다. 지금까지 친박계는 대통령 정무특보를 지낸 김재원·윤상현 의원이 주축을 이뤘지만 이들 역시 자신의 발언이 의도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는 부담감 등에 현안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을 되도록 아꼈던 게 사실이다.
친박계의 '역습'이 가시화할 경우 비박계도 가만히 앉아서 당하지만은 않겠다는 분위기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최경환의 귀환' 임박…친박계發 공천 룰 전쟁 재점화되나
입력 2015-12-06 06:45 수정 2015-12-06 0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