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물을 끌어다 만든 수돗물을 공급하겠다는 부산시의 조치에 기장군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기장군 주민 100여명은 부산시의 해수담수화 수돗물 공급방침에 반발해 4일부터 이틀째 군청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일부 주민은 다음 주부터 자녀의 초등학교 등교 거부를 결의하기도 했다. 주민들은 “원전 여러 기를 둔 기장군 앞바다에서 끌어들인 바닷물로 만든 수돗물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기장군도 “상수도사업본부가 수돗물 안전성이 입증됐다고 하지만 매일 마시는 수돗물은 과학적인 근거 못지않게 심리적 안정과 주민 공감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주민 동의부터 구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부산시는 7일부터 기장해양정수센터가 본격 가동됨에 따라 하루 2만1000t의 수돗물을 정관과 철마면을 제외한 기장군에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1년간 수질검사를 한 결과 방사성물질은 검출되지 않았고, 먹는물 수질기준에도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기장해양정수센터는 하루 생산량 4만5000t의 규모로 국·시비와 민자 등 1954억원을 들여 지난해 12월 완공됐다. 머리카락 굵기 1000분의 1 크기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염분이나 불순물을 걸러내는 역삼투압 막 여과 방식으로 수돗물을 생산한다. 응집제 등 정수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먹는 물을 생산할 수 있어 기존 수돗물의 최대 약점인 염소 소독부산물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고 시는 주장했다.
시는 해운대구 송정동 역시 애초 공급계획에 포함했지만 주민이 참여한 가운데 수질검사를 벌여 그 결과가 나올 때까지 해수담수화 수돗물 공급을 보류하기로 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해수담수화 수돗물 못 마시겠다"…부산 기장군 주민 반발
입력 2015-12-05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