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교통사고 37.4% 직각으로 옆에서 충돌

입력 2015-12-05 14:18
전체 자전거 교통사고 가운데 달리는 방향과 직각으로 옆에서 충돌하는 사고가 37.4%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교통대학교 김진태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팀은 5일 ‘지능형교통체계 환경 자전거 및 이륜차 안전서비스 연구' 논문에서 측면 직각충돌 사고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자전거 교통사고 발생 건수를 유형별로 보면 측면 직각충돌이 37.4%로 가장 많고, 추돌사고(9.2%), 정면충돌(6.1%), 횡단 중 사고(3.3%), 보도통행 중(2.4%) 순이었다. 옆에서 충돌하는 사건이 많은 이유는 노상 주차나 건물 등 자전거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사각지대'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자전거를 타고 달리다가 차량·사람·자전거 등과 직각으로 옆에서 충돌하는 사고에 따른 사망자는 전체 사망자수의 32.8%를 차지했다. 김 교수팀은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과 경찰자료, 보험회사 자료를 포함해 2011년부터 2013까지 자전거 교통사고 1만8194건을 사고유형별, 연령별, 도로형태별로 분석했다.

연령대별 자전거 교통사고 건수 대비 사망자수 비율을 조사한 결과 65세 이상 치사율이 5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체노화로 사고가 발생하면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특성 때문이다. 자전거 교통사고 발생 자체는 20대 이하 연령대에서 가장 많지만 치사율은 6.1%에 불과해 가장 낮았다.

도로 유형별로는 신호등이 있는 교차로보다는 단일로가 사고건수의 45.2%, 사망자 수의 52.5%를 차지해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단일로에는 인도·차도 구분이 없는 이면도로도 포함된다.

김 교수팀은 자전거와 오토바이에 단말기를 장착하고 도로 레이더·카메라 등 인프라를 통한 지능형 안전서비스 방안을 제시했다. 사각지대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알려주는 ‘직각충돌 경보 서비스'와 전방 장애물·주정차차량 경보, 신호전환 알림,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 경보, 과속, 지정도로 이용 안내 등의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