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내부의 총선 공천룰 논의가 재점화하면서 계파 충돌에 따른 내홍이 표면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공천특별기구 구성과 전략공천 필요성을 둘러싼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의 충돌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면서 최근 정기국회 현안으로 잠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갈등이 또다시 등장할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공천룰 문제는 이르면 다음 주 공론화할 가능성이 크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와 새해 예산안 처리 등 원내의 큰 현안이 어느 정도 매듭지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달 중순 공천룰 특별기구 구성, 내년 1월 중순 공천관리위원회 구성 및 경선 개시, 2월 중 총선 후보 확정이라는 스케줄이 당내에서 거론되고 있다.
한 핵심 당직자는 4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일요일(6일)에 선거구 획정 관련 여야 지도부의 담판이 예정됐으니 그 직후 우리는 공천룰 얘기를 해야 한다"며 "공천룰에 대한 다양한 의견도 함께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당직자도 "다음 주 월요일(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특별기구 구성이 공론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특히 당내 주류인 친박계에서 이제는 공천룰 논의가 시작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친박계 핵심인 유기준 의원은 "선거구 획정, 공천룰 확정, 공천관리기구 구성, 인재 영입이 선거를 치르기 위한 4가지 기본"이라며 "당 지도부가 책임감을 갖고 선거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빨리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공천특별기구 구성 등 '룰 세팅' 과정에선 경선에 반영될 당원과 일반국민의 비율이 쟁점으로 부각될 수밖에 없다. 결국 이를 놓고 "바꿔야 한다"는 비박(비박근혜)계와 "현행대로 가자"는 친박계의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비박계인 김무성 대표는 일반국민 반영 비율이 최소 70%는 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비록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은 불발됐지만,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취지를 살리려면 국민 여론의 반영 비율이 대폭 높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반면 친박계는 현재의 당헌·당규대로 당원과 일반국민의 반영 비율을 50%씩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공당(公黨)의 공천은 국민 여론 못지않게 당원들의 의견도 중요하며, 당장 오는 15일 총선 예비후보를 등록하는 마당에 당헌·당규를 고치기에는 너무 늦었다는 논리다.
이런 논의가 오는 9일로 예정된 친박계 중심의 국가경쟁력강화포럼에서 어떤 형태로 다뤄질지 관심사다.
그러나 포럼을 주최하는 유기준 의원은 "정치·경제를 주제로 외부 인사의 강연을 겸한 송년 모임일 뿐"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더욱이 한동안 중단됐던 공천룰 논의가 재개되면 '다선·고령 용퇴론'이나 '중진 험지 차출론' 등 일각에서 거론되는 다양한 의견도 함께 분출될 것으로 보여 분란은 불가피해 보인다.
공교롭게도 다선·고령 용퇴론은 당내 최다선(7선)인 '친박 좌장' 서청원 최고위원, 험지 차출론은 부산에 터전을 둔 비박계 김무성 대표를 각각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18대 총선에서도 당시 70세에 5선 중진이던 친이(친이명박)계의 박희태 전 국회의장이 공천에서 탈락한 바 있다. 이번에는 73세가 되는 서 최고위원이 상징적인 대상이라는 얘기가 일부 친박계 의원 사이에서도 나온다.
김 대표의 험지 차출론 역시 비박계인 김용태 의원이 공개적으로 거론했다. 김 의원은 지난 1일 김 대표를 비롯한 일부 중진이나 당직자에 대해 "자기희생을 보여야 총선에서 승리한다"며 서울을 포함한 야당 강세 지역 출마를 촉구했다.
공천룰 논의 재개를 앞두고 김 대표가 제기한 '지방자치단체장 출마 페널티'도 당내 미묘한 파장을 낳고 있다.
지자체장이 총선에 임박해 사퇴할 경우 공천 심사에서 불이익을 줘야 한다는 게 김 대표의 의중이지만 이를 현실화할 경우 당장 피선거권 제한이라는 이유로 위헌 논란이 불거질 수 있는데다 선출직 공직자와 임명직 공직자의 형평성을 해친다는 비판이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김 대표가 '열린 공천'을 주장하면서 지자체장을 특정해 '닫힌 공천'을 하려는 것은 자가당착이라는 주장도 내놓고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새누리당도 공천룰 내분 속으로” 중진용퇴·험지차출론까지
입력 2015-12-04 1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