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비주류는 4일 문재인 대표의 혁신 전당대회 및 대표직 사퇴 거부에 반발해 당무 거부나 당직 사퇴 등 집단행동에 나설 조짐을 보이고 있다.
문 대표가 내년 총선 때까지 '문재인 체제'로 당을 운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비주류의 당직 사퇴 등이 잇따를 경우 사실상 지도체제가 와해되고 분당 사태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비주류 한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문 대표가 명분을 잃은 메시지를 던져 오히려 당을 분열시키고 있다"며 "다음주 월요일부터 당직을 갖고 있는 비주류부터 당무를 거부하거나 사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비주류가 즉흥적으로 대응할 필요는 없고 문 대표의 사퇴를 위해 당내 여론을 광범위하게 형성하는 작업을 진행할 것"이라면서 "단계적으로 대응 수위를 올려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당직을 맡은 비주류의 또다른 의원은 "당 조직 전체가 1인체제로 굳어져 있어 당직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당무를 거부할 필요도 없이 바로 사퇴해야 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비주류 주승용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해 최고위원직 사퇴를 고민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특히 당내 일각에서는 문 대표를 윤리심판원에 제소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황주홍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문 대표는 선거 때마다 지고서도 책임을 지지 않았다"며 "주변과 상의해 신상필벌적 관점에서 문 대표의 징계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野비주류, 당무거부·당직사퇴 검토…집단반발 조짐
입력 2015-12-04 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