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8월 함경북도 나선 특별시에서 홍수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수해 발생할 당시 일부 북한 주민이 김일성·김정일 초상화를 가슴에 품고 익사한 것이 뒤늦게 알려졌다고 북한전문매체인 데일리NK가 보도했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3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10월 말 수해로 실종된 시신 수색 작업 과정에서 발견된 한 여성이 자신의 아이가 아니라 (김일성·김정일) 초상화를 품에 안고 있었다”면서 “이 여성 외에도 비닐로 꽁꽁 싸맨 초상화를 갖고 죽은 주민 시신이 다수 발견됐다”고 전했다.
이어 소식통은 “이후 최초 발견된 이 여성 시신에서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이 여성의 아이를 품고 익사한 할머니가 발견됐다”면서 “생사를 오가는 절박한 상황에서 아이보다 초상화를 선택한 것에 대해 주변 주민들은 충격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소식통에 의하면, 북한 당국은 김정은 일가에 대한 우상화 교육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평생 진행하지만, 당국의 배급과 의료 등의 혜택이 줄어들면서 주민들의 충성심이 약화됐다. 때문에 주민들은 처벌이 두려워 겉으로는 충성심을 보이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다는 것이 소식통의 전언이다.
이에 대해 소식통은 “일반적으로 당국은 주민들을 대상으로 수령의 권위를 목숨으로 지켜야 한다는 식으로 충성을 강요하고 있다”면서 “특히 김일성과 김정일의 초상화를 신성시하고 화재나 수해 등이 발생하면 제일 먼저 지켜야 한다고 교육시키고, 이를 어길시 인민의 의무를 저버린 것으로 간주해 처벌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그동안 주민들이 북한 당국의 행태를 지켜봐왔다는 점에서 이 여성은 초상화를 건사하지 못할 경우에 대한 처벌이 두려워서 무의식적으로 나온 행동으로 보인다”면서도 “적은 수가 아니라 많은 주민들이 초상화를 안고 죽었다는 점에서 우상화의 무서움을 다시 한 번 느끼게 해준다”고 분석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홍수 피해 北나선 자식 아닌 김일성.김정일 초상화 품고 익사 엄마 발견”
입력 2015-12-03 1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