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가 현대로템㈜의 ‘철도산업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창원시는 관내 소재한 현대로템㈜의 ‘철도산업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수립 건의문’을 대통령비서실,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장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국토교통부장관 등 정부기관에 발송했다고 2일 밝혔다.
현대로템은 지난달 26일 ‘위기에 처한 국내철도산업의 현실’이란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해외수주 급감에 따른 정부의 제도적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현대로템은 2013년 1744억원에서 2014년 66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지만 올 상반기 13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의 원인은 철도차량 부분이다.
현대로템의 철도차량은 내수부진에 이어 해외시장에서도 중국과 일본 등에 밀렸다.
특히 막강한 정부 지원과 저가 입찰로 신규 수주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중국업체가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했다.
세계철도 시장의 30%를 차지하는 중국은 신규 프로젝트 입찰 참여 자격을 중국 합작법인 회사로 제한해 현대로템은 물론 외국 업체들도 중국 철도시장에 들어올 수 없도록 차단하고 있다. 현대로템의 수주부진이 가중되는 이유다. 중국기업의 경우 입찰가격도 현대로템 보다 20% 이상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철도 완성차량 제작업체를 보유한 국가들은 자국 철도산업 보호를 위해 1국가 1사 체제를 유지하며 해외 프로젝트 수주를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창원시는 철도산업 보호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범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을 담은 건의문을 정부기관에 전달했다.
건의문 내용은 우선 국내 철도산업을 무한경쟁으로 몰아넣는 공공조달 시장에서 최저가 입찰제를 폐지하고 종합평가제를 도입하는 것이다. 또 철도차량 입찰에서 국산부품 사용 비율을 의무화 하는 ‘Buy Korea법’ 제정 요구도 담았다.
이와 함께 국내 노후차량 교체 연한 단축, 노후차량 교체를 위한 정부 지원, 중고 철도차량의 해외 수출 허용, 정부의 금융지원정책 등도 포함했다.
안상수 시장은 “해외시장에서 우리기업들의 설 자리가 갈수록 좁아지는 현시점에서 정부 주도의 철도산업을 살릴 수 있는 제도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현대로템에 대한 지원이 있어야 우리나라 철도제작 기술 유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창원시, 철도산업 육성 지원 적극 나서
입력 2015-12-02 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