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 중 약물 부작용을 알리는 문제를 두고 암 환자 가족은 암전문의와 큰 의견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학교암병원 암건강증진센터 신동욱(왼쪽) 교수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박종혁(오른쪽) 교수는 지난 2012년 국내 13개 의료기관을 방문한 암 환자와 가족 725쌍, 암전문의 134명을 대상으로 ‘의사가 암 치료 중 약물 부작용을 어느 수준까지 환자에게 알리는 게 좋을지’에 대해 각각 물었다.
그 결과, 환자들은 치료약물의 부작용이 경미한 경우 83.7%가, 부작용이 심각한 경우 87%가 본인에게 알려야 한다고 답했다.
환자들은 증상조절약물의 부작용이 경미한 경우 82.1%가, 부작용이 심각한 경우 86.3%가 본인에게 알려야 한다고 답했다.
환자의 가족들도 77.5~81%가 동일한 질문에 대해 치료약물의 부작용을 경미하든(77.5%), 심각하든(81%) 상관없이 환자에게 모두 알려야 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암전문의들은 치료약물의 부작용이 경미한 경우 23.9%만이 환자에게 알려야 한다고 답했고 부작용이 심각한 경우에도 이 비율은 70.2%에 그쳤다.
약물 부작용을 알리는 방법에서도 환자와 가족은 의료진과 의견 차이를 보였다. 환자와 가족은 “1000명 중 10명”과 같이 정확하고 구체적인 수치로 알리는 것을 가장 선호했지만 암전문의는 “있을 수 있다”처럼 가능성 정도만 알리는 것을 가장 많이 원했다.
또 환자(41.8%)와 가족(48%)에 비해 암전문의(73.1%)는 책자, 영상 등 교육 자료를 통해 알리는 것을 크게 선호하는 특징을 보였다. 설명간호사를 통해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도 환자(51.3%)와 가족(52.6%)은 암전문의(85.1%)와 의견 차이를 보였다.
신동욱 교수는 “환자와 가족이 교육 자료나 설명간호사의 설명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은 본인의 상태를 잘 아는 담당의사와의 쌍방향 의사소통을 원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종혁 교수는 “환자와 가족이 적정 수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부작용 설명을 위한 충분한 진료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또 포괄적인 암 정보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을 양성해 각 지역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정신 및 종양학 분야 국제 학술지 ‘사이코 온콜로지’(psycho-onc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암 치료 부작용 통보 문제, 암 환자가족과 의사간 견해 차이 크다
입력 2015-12-01 1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