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 완공 앞둔 제주해군기지, 12월 1일 제주기지전대 창설식

입력 2015-11-30 14:42
제주 서귀포시 강정마을에 건설 중인 제주해군기지(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가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2007년 강정마을 주민들의 투표로 해군기지 유치를 결정한지 8년 만이다.

제주해군기지로 들어가는 길에는 아직도 반대 구호가 적힌 플래카드가 곳곳에 나붙어 있고, 기지 정문에서는 공사 차량의 진입을 막는 미사가 매일 열리고 있다.

여전히 진행 중인 갈등 속에 해군은 내년 1월 해군기지 준공식을 계획하고 있다.

◇95% 공정률=30일 해군본부와 제주도 등에 따르면 제주 해군기지 건설공사는 현재 9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2012년에 공사를 시작, 항만공사는 사실상 마무리됐으며 육상도 건물 대부분이 외관을 갖추는 등 막바지 정리공사가 한창이다.

육상공사는 본관·별관·작전지휘소 등 군 지휘·지원 행정시설이 들어서는 1공구와 복합문화센터·간부 숙소·종합운동장 등 민군 복합 공동시설이 들어서는 2공구가 87%의 진척을 보이고 있다. 작전 필수대기요원이 사용할 군 관사는 강정초등학교 인근 9407㎡ 부지에 들어선다.

해군본부는 지난 9월 16일 해군기지에 이지스구축함인 세종대왕함을 입항시키는 것을 시작으로 지난 26일까지 구축함·호위함·잠수함 등 16개 유형·함정 21척의 계류 시험을 모두 마쳤다.

해군본부 관계자는 “해군의 최대 함정인 1만4500t급 대형수송함 독도함의 계류 시험도 성공적으로 끝냈다”며 “어떤 함정도 이곳에서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다”고 평가했다.

◇12월 1일 제주기지전대 창설=해군본부는 12월 1일 해상작전을 지휘 지원하는 제주기지전대를 창설한다. 해군은 제주기지전대 창설을 시작으로 앞으로 제7기동전단과 잠수함사령부 산하 일부 부대를 제주로 옮겨 해군기지 본격 가동에 나선다.

제주 해군기지가 완공되면 이곳에는 육상의 제주기지전대 인력 500∼600여명, 제71기동전대와 제72기동전대·잠수함전대 등 해상작전인력 2500∼2600명 등 총 3000∼3200명의 군인이 주둔한다. 군인 가족까지 합칠 경우 7000여명이 해군기지를 비롯한 인근지역에서 생활하게 되는 셈이다.

제주 해군기지는 단순한 기동부대 역할 뿐 만 아니라 군사적으로 해양분쟁에 대비한 전초기지, 안정적 해상교통로를 확보하는 역할까지 담당한다. 8시간이면 이어도까지 출동이 가능해져 해군의 작전 반응시간도 대폭 단축된다.

◇주민 갈등과 환경파괴 논란=해군기지 반대 투쟁과정에서 빚어진 주민들과의 골 깊은 갈등과 부작용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

그동안 700여명의 주민과 활동가들이 연행됐으며, 이중 38명이 구속됐다. 기소인원만 600여명이며, 확정된 벌금만 4억여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기지 추진과정에서 제기됐던 절차적 정당성 문제, 입지선정 문제 등 각종 의혹도 해소되지 않은 상태다. 천연기념물 연산호 군락지 서식환경이 크게 악화됐다는 환경파괴 논란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해군은 해군기지 복지시설 점포 입찰을 실시하면서 강정마을 주민들로 한정하는 등 주민들과의 상생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역부족인 상태다.

해군기지 유치를 반대해 온 주민들은 아직도 냉랭하기만 하다. 주민 김모(62)씨는 “해군측이 주민들에게 지체배상금의 구상권을 행사하겠다고 나서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해군기지 준공식을 박수 받으면서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 강모(70)씨는 “주민들도 이제는 정신적 육체적으로 다들 지쳐있는 상태”라며 “제발 갈등과 반목의 고통에서 벗어나 하루빨리 화합하는 시간이 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원희룡 지사 취임 이후 강정마을회와 지속적인 접촉을 가지며 주민과의 상생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해군과 마을주민들 간 ‘갈등’과 ‘불신’의 벽에 부딪혀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