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가별·직종별 맞춤형 해외취업 지원 대책 추진

입력 2015-11-27 12:58
정부가 국가별·직종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세워 청년들의 해외취업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연간 5000 명 정도인 해외 청년취업자 수를 2017년부터 1만여 명으로 늘릴 방침이다.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청년 해외취업 촉진 대책을 확정해 발표했다. 정부는 청년들의 취업 진출이 유망한 15개국을 선정해 국가별·직종별 맞춤형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시장을 겨냥해선 인력수요가 많고 진출이 상대적으로 쉬운 정보기술(IT), 치기공 직종 등을 중심으로 취업 전략을 마련했다. 미국 시장을 겨냥해선 틈새 유망직종인 치기공 분야를 중심으로 대학 저학년 때부터 취업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청해진대학(가칭)을 운영할 계획이다. 청해진대학은 해외취업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대학이나 학과를 가리키는 말이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에 청해진대학 10여 곳을 지정해 청년 200여 명이 최장 2년간 직무, 기술, 어학, 문화를 통합한 해외취업 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글로벌 기업이 많이 진출한 싱가포르나 홍콩 같은 아시아 지역에서는 통상 1∼2년의 경력이 있어야 취업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해 글로벌 리크루트사와 협력하기로 했다. 신흥국에서 취업하는 청년에게 주는 해외취업 성공장려금은 현행 3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올리기로 했다. 반면 선진국 취업 청년에게 주는 장려금은 현행 3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낮출 방침이다.

중동 시장을 겨냥해선 한국 병원이나 기업의 해외 프로젝트 수주와 연계한 인력 진출을 추진한다. 정부가 국가별로 특화된 청년 해외취업 대책을 세운 것은 단순 서비스직으로의 쏠림현상을 해소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주기 위해서다.

정부는 앞으로 성과가 좋은 대책을 강화하는 등 ‘선택과 집중’을 하기로 했다. 이런 차원에서 3∼4개월 단기과정 중심인 고용노동부의 해외취업 지원 프로그램인 'K-Move 스쿨'을 내년부터 6∼12개월 장기과정 중심으로 개편한다. ‘스펙 쌓기용’이라는 지적을 받아온 해외인턴 사업 예산은 올해 301억원에서 내년엔 214억원으로 줄인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