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두뇌 유출’(braindrain)이 국가 경제의 경쟁력을 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전체적인 인재확보 능력은 세계에서 중위권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의 ‘2015 세계 인재 보고서’(IMD World Talent Report 2015)에 따르면 인재확보 능력에서 한국은 조사 대상 61개국 가운데 종합 31위에 올랐다. 이는 지난해보다 9계단 상승한 것으로 2005년 첫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순위다.
세부항목에서 한국은 조사 대상국 가운데 두뇌 유출로 인한 국가 경제의 경쟁력 저하 문제가 18번째로 심각한 나라로 꼽혔다. 실제로 2012년 조사에서 미국 내 한국인 이공계 박사학위자 1400명 가운데 60%가 미국 잔류 의사를 밝혔다.
IMD는 매년 각국이 기업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고 유치하며 계속 보유하는 능력을 평가해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 IMD 보고서에서 한국이 상대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둔 세부 항목을 보면 ‘15세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PISA)에서 4위였으며 ‘노동력 증가율’(2.56%)은 9위였다. ‘인재 유인 및 확보’와 ‘소득세 실효세율’(9.40%)은 각각 13위, ‘건강 인프라’ 항목은 16위였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한국, 인재 유출 61개국 중 18번째로 심각
입력 2015-11-26 1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