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남북 고위급회담을 위한 실무접촉에선 본 회담의 수석대표 격(格) 문제가 최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남측은 홍용표 통일부 장관과 김양건 노동당 비서(통일전선부장)를 수석대표로 하는 이른바 '통-통 라인'간의 회담을 선호하지만, 북측은 홍 장관의 상대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서기국장을 제시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우리 정부는 노동당 외곽조직인 조평통의 서기국장을 차관급 이하로 보기 때문에 2013년 6월 당국회담 실무접촉 때와 마찬가지로 수석대표의 격을 놓고 남과 북이 신경전을 벌일 개연성이 상당하다.
당국회담 수석대표의 급을 둘러싼 남북의 견해차는 실무접촉 성사 과정에서 양측이 주고받은 전통문의 명의에서도 예고됐다. 정부는 지난 9월 21일과 24일, 10월 30일 세 차례에 걸쳐 당국회담 실무접촉을 제안하는 전통문을 홍 장관 명의로 김 비서에게 보냈다.
그러나 북측은 지난 20일 남측의 제안에 호응해 '26일 판문점 통일각에서 당국회담 실무접촉을 갖자'고 전통문을 보내면서도 조평통 서기국 명의로 통일부로 발송했다.
2013년 6월 당국회담 실무접촉 때도 북측이 당국회담 수석대표로 조평통 서기국장을 내세우자 우리 정부는 통일부 장관의 상대로 조평통 서기국장은 격이 맞지 않는다며 통일부 차관으로 수석대표를 변경했고, 북측이 이에 반발해 회담 무산을 통보한 바 있다.
과거 남북 장관급 회담 때는 북측이 통일부 장관의 상대로 우리로 치면 차관급인 내각 책임참사를 내세워도 남측이 수용했으나, 현 정부는 '회담의 형식이 내용을 지배한다'는 인식에 따라 격이 맞지 않는 남북대화는 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 측이 선호하는 통일장관-통전부장 회담이 성사되지 않으면 '8·25 합의'를 이끈 '2+2 회담'(남측 국가안보실장·통일장관-북측 군총정치국장·통전부장)이나 2014년 2월에 성사된 남측 국가안보실 1차관-북측 통전부 부부장 등의 회담 형식이 대안으로 논의될 가능성도 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26일 남북회담 실무접촉…이번에도 본회담 격 문제 쟁점되나
입력 2015-11-25 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