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동절기를 앞두고 정부가 눈 피해 우려 지역과 시설에 대한 집중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국민안전 민관합동회의를 열고 지역별·시설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동절기 안전대책'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노후주택과 아치형 패널 등 대설 취약시설 2천332개를 '설해(雪害) 붕괴 위험시설'로 지정해 집중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특히 과거에는 아치형 패널이 관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지난해 2월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사고에서 아치형 패널 지붕이 붕괴된 점을 감안해 이를 취약시설로 분류하기로 했다.
또 고가도로나 램프 등 제설 취약구간 2천148개 지역은 제설 책임 담당제를 시행하고, 산간마을 등 고립이 우려되는 426개 지역은 마을단위 제설반을 운영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립공원 등 503개 지역은 기상특보시 통행제한을 하고 안전점검을 하기로 했으며, 고갯길이나 교량 등 경사 구간 904개 지역에서는 제설장치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또 대설 예비특보가 내려지면 재난상황실을 24시간 비상 근무체계로 가동하고, 관계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비상상황실 인원을 보강하도록 했다.
대설 예비특보는 대설주의보(24시간 내 적설 5㎝ 이상)나 대설경보(24시간 내 적설 20㎝ 이상)가 예상될 때 내려진다.
한파가 지속하면 상수도 동파, 전기·가스·보일러 고장시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한 긴급서비스반을 운영하고, 기초생활수급자 등을 대상으로 소방시설을 무료로 보급하는 등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주택밀집지역 ▲대형판매시설과 영화상영관 ▲전통시장 ▲다중이용업소 ▲요양병원 ▲공동주택 ▲공사장 ▲축사 등 8개 시설을 대상으로 소방시설을 점검하고, 교육·훈련을 실시한다.
정부는 이날 산업단지 안전관리 강화 대책도 확정했다.
화학재난사고의 예방과 대응을 위해 대구 성서산업단지와 울산산업단지에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해 화재나 가스누출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통합재난대응 시스템을 시범적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또 울산·온산산단을 시작으로 노후화가 심각한 지하매설배관에 대한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고위험 배관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산단 별로 화학물질 취급에 따른 위험도 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정부, 눈피해 위험 시설 6천300여곳 집중 관리
입력 2015-11-24 1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