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 장례위원회 2222명으로 구성

입력 2015-11-24 15:28 수정 2015-11-24 15:57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을 주관할 장례위원회가 각계 인사 2222명으로 구성됐다.

행정자치부는 24일 브리핑을 통해 장례위원회 구성 내용을 발표했다.

장례위원은 총 2222명으로 입법·사법·행정부 전·현직 고위공무원, 대학총장·종교계·재계·사회각계 대표와 유족이 추천한 친지, 친분이 있는 인사 등이 포함됐다.

정부 추천인사가 808명, 유족 측이 추천한 인사가 1414명이다.

장례위원장은 황교안 국무총리가 맡고 부위원장은 정갑윤·이석현 국회부의장, 이정미 헌법재판소 수석재판관, 황찬현 감사원장, 홍준표 경남도지사와 유족 측이 추천한 김봉조 전 국회의원 등 6명으로 구성됐다.

고문으로는 5부 요인, 정당대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전직 국무위원과 국회의원 등 101명이 참여한다.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때와 마찬가지로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도 고문에 포함됐다.

집행위원회장은 정종섭 행정자치부장관이 맡고 집행위원은 최경환 기획재정부장관, 윤병세 외교부장관, 한민구 국방부장관,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강신명 경찰청장이 참여한다.

이밖에 입법·사법·행정부와 지방자치단체장, 대학 총장, 경제계·언론계·종교계 등 각계 인사 2018명이 장례위원에 포함됐다. 입법부 원내대표·상임위원장·국회의원 등 248명, 사법부 30명, 선거관리위원회 및 민주평통 고위직 29명, 행정부 창·차관급 126명, 대통령 소속 위원회 등 19명, 군 장성 8명, 시·도지사와 동작구청장·거제시장 등 지방자치단체장 18명, 국공립·사립대 총장 196명, 각계대표 87명, 기타 주요인사 1347명이다.

김혜영 행자부 의정관은 “장례위원회 구성과 관련해 유족 측과 협의가 원만하게 이뤄졌으며 유족 측이 추천한 친지와 지인은 대부분 반영됐다”며 “장례식 절차에 대해서도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례식에서 추도사는 김수한 전 국회의장이 맡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4대 종교행사도 진행할 예정인데 이번에는 기독교, 불교, 가톨릭, 원불교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때 장례위원은 1404명,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때는 2375명이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