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연평도 포격 사건 5주기를 맞아 연평도 주민들이 근본적인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23일 오후 인천시의회 의총회의실에서 열린 ‘NLL(북방한계선)과 연평도 주민의 삶’을 주제로 한 연평도 포격사건 5주기 토론회에서 박태원(55) 연평도 어촌계장 등 어민 대표들은 “NLL 선상에 콘크리트 구조물 형식의 ‘어초’를 설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평도 어민들에 따르면 중국 어선들이 NLL 선상에서 중국 어선들이 아침에 출근해 저녁에 정박하는 상황을 개선하기위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어초’를 설치해야 불법 중국 어선들이 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민들은 또 경인아라뱃길과 서울 성동구 활어축제 등을 통해 자연산 활어에 대한 판로개척이 이뤄지고 있으나 연평도에는 활어집하장이 없어 애를 먹고 있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박태원 연평도 어촌계장은 연평도 포격사건 후유증과 관련, “5년 전 포격 당시 외상후 스트레스로 고통을 받고 있는 노인들이 지금도 ‘대포소리’만 들어도 몸을 가누지 못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며 “연평도 노인들을 위한 요양원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어민들은 법을 개정해서라도 ‘여객선’에 대한 준공영제를 도입해 왕복 11만원을 줘야 연평도를 방문할 수 있는 현실을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어민들은 “제주도 저가항공의 요금이 3만7000원인 반면 연평도 여객선의 요금은 왕복 11만원에 달해 여행객들의 방문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국가안보상 최고 요충지인 연평도에서 안보관광을 할 수 있도록 여객선 요금을 낮추는 것이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인천경실련은 이날 논평을 통해 “‘서해5도 지원특별법 및 종합발전계획’ 정상화가 필요하다”며 “연안여객선 준공영제 즉각 실시와 해양경비안전본부 인천 존치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인천경실련은 같은 논평에서 “10년간 78개 사업에 9109억원을 투입한다던 종합발전계획 추진실적은 지난해까지 66개 사업 2225억원에 불과했다”고 따졌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연평도 포격 5주기 어민들 NLL 선상 어초 설치 등 촉구
입력 2015-11-23 1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