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전 공동대표는 23일 "무엇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길인지, 어떻게 내년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을지, 그래서 박근혜 정부의 독단과 과거 회귀를 막을 수 있는지에 대한 깊은 고민과 성찰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자신의 싱크탱크인 '정책네트워크 내일'이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한 '무엇이 정치와 정부의 신뢰를 결정하는가' 토론회에 참석해 "(박근혜 정부는) 국정운영 기조의 대전환을 모색해야 한다"며 이처럼 밝혔다.
그는 "논어에 '무신불립'(無信不立)이란 말이 있다. 믿음이 없으면 올바로 설 수 없다는 뜻"이라며 "신뢰는 사회통합과 발전을 위해 국가와 사회, 그리고 그 구성원들이 필수적으로 갖춰야하는 사회적 자본"이라고 했다.
이어 조사대상 41개국 중 26위를 차지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평가를 거론하며 "국민을 이념적으로 편가르지 말고 국민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집중하라는 국민의 요구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전 대표는 박근혜 정부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요소로 Δ지난해 세월호 참사와 올해 메르스 사태 대처과정에서 보여준 무능과 혼란 Δ국민여론을 무시한 역사교과서 국정화 밀어붙이기 등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또한 연구결과에서 정치권에 대한 국민신뢰가 매우 낮다는 게 거듭 확인됐다"며 "정치에 대한 지속적인 불신과 저평가는 결국 경제사회적 문제 해결의 걸림돌이 되고 국민의 이익을 해치게 된다"고 부연했다.
더불어 '신뢰와 정부' 등을 주제로 정책네트 내일이 실시한 연구결과와 관련해 "이번 연구결과가 국민들의 정치혁신과 정부개혁의 필요성을 거듭 제시했다는 점에서 저를 비롯한 우리 정치권의 성찰과 반성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안 전 대표는 전날(22일) 새벽 서거한 김영삼 전 대통령의 장례를 감안, 이번주 초에 내놓으려고 했던 '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연대 제안에 대한 답을 김 전 대통령의 영결식(26일) 이후로 연기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토론회 뒤 기자들과 만나 '문안박' 연대 제안 수락 여부와 관련 "여러 분들의 말씀을 듣고 있는 중이다"고 말을 아끼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 했다.
민집모(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 등 비주류 일각에서 문안박 연대에 비판적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도 "말씀을 듣고 신중하게 판단하겠다"고만 했다.
문안박 연대에 대한 입장 표명 연기 이유에 대해 "(김영삼 전 대통령의) 국가장 때 발표를 할 수 있냐"고 했고, 발표 시점이 27일과 29일로 관측되고 있는데 대해선 "일단 국가장이 끝난 다음에 말씀드리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무신불립(無信不立)...믿음이 없으면 올바로 설 수 없다” 안철수, YS 국가장 이후 입장 표명
입력 2015-11-23 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