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소식에 광주·전남 지역민들은 5·18민주화운동 특별법 제정과 국가기념일 지정 등 ‘역사바로세우기’에 앞장선 큰 별이 졌다고 애도했다.
김양래 5·18 기념재단 상임이사는 22일 “김 전 대통령의 특별법 제정 결단은 역사바로세우기 활동의 시작이 됐고 정부가 5·18에 대해 진실 규명 등 공적 대응을 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사단법인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공동회장인 박광태 전 광주시장도 “한국 사회가 군사정권을 종식하고 민주화, 산업화를 이뤄 통일로 가는 길을 닦은 것은 김대중, 김영삼 두 전 대통령의 공로”라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광주시당은 이날 논평을 내고 “김 전 대통령은 군사독재 정권의 억압에 굴하지 않고 불의와 폭력에 맞선 투사이자 독재정권을 종식하고 대한민국 민주화를 이룬 분”이라며 “특히 광주민중항쟁을 민주화운동으로 승화시키고 신군부에 광주 유혈 진압의 죄를 물은 것은 불행했던 과거사를 정리하는 역사적 전기였다”고 평가했다.
또 “금융실명제, 공직자 재산공개 제도를 도입하고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을 수사하는 등 경제와 정치 민주화를 앞당겼다”고 강조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재임 중이던 1995년 11월 24일 “5·18 특별법 제정을 계기로 이 땅에 정의와 진실, 법이 살아있음을 국민에게 보여주는 기회가 되도록 하겠다”며 특별법 제정을 지시했고, 이에 따라 한 달여 만인 12월 21일 특별법이 제정, 공포됐다.
특별법 제정에 따라 5·18 발생 16년 만인 1996년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 등 12·12와 5·17 계엄확대 및 5·18 유혈진압을 한 신군부세력에 대한 처벌이 이뤄졌다. 이를 통해 5·18의 진상을 규명해 광주민중항쟁에 대한 역사적인 평가를 내리고, 폭도로 몰려 내란죄 등 누명을 썼던 광주시민들의 명예를 회복하는 계기가 됐다.
김 전 대통령은 앞서 신민당 총재였던 1980년 신군부의 5·17 조치로 3년여간 가택연금 조치를 당했고, 1983년에는 5·18 3주년을 맞아 23일간 단식투쟁에 나서기도 했다.
또 대통령 취임 첫해인 1993년 5월 13일 열린 대국민 특별담화에서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제정과 민주묘지 조성, 전남도청 이전 및 기념공원 조성, 5·18 참여로 유죄판결을 받은 시민들의 전과기록 말소 계획 등을 발표했다.
이후 4년 만인 1997년에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됐고 새로 조성된 신묘역(현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정부 주관 첫 행사가 열렸다.
한편 광주시는 청사 1층 시민숲에 김영삼 전 대통령의 합동 분향소를 설치해 23일부터 영결식이 거행되는 26일 자정까지 운영한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광주 전남지역민들 “5·18 등 역사 바로세운 큰 별 졌다”
입력 2015-11-22 1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