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사이버 공격 목표, 내년 국제사회로 확대될 수도”

입력 2015-11-22 08:21

북한의 사이버 공격 및 심리전 목표가 내년 들어 국제사회로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은 탈북자 단체인 NK지식인연대(대표 김흥광)가 23일 명동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여는 '북한의 대남 사이버 심리전 진단 및 대책' 학술세미나를 앞두고 22일 미리 배포한 발표문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안 소장은 '북한의 사이버 심리 공세전 폐해와 대응'이라는 제목의 발표문에서 내년 5월 초 소집되는 북한 노동당 7차 대회를 북한의 사이버 테러가 국제화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 예상했다.

그는 "제7차 당 대회는 북한도 이제 국제사회를 향해 나가겠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면서 "이는 북한의 테러조직이 주변국가로 스며들 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만든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때까지 음지에서 일하던 북한의 사이버 테러·심리전 조직이 버젓이 중국이나 홍콩 등지로 나와 활동영역을 넓혀나가게 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가 장기적 사이버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으며, 북한의 공격에 대해 기존의 수세적 방어에서 '공세적 방어'로 대응 수위를 높여야 한다고 안 소장은 지적했다.

그는 지난 2009년 7·7 사이버 공격과 2011년 농협 전산망 마비 등을 사례로 들며 "북한의 사이버 공격 능력은 나날이 발전되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사실상 손놓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애란 자유통일문화원 원장은 발표문을 통해 "과거 대남 선전 사이트를 통해서만 이뤄지던 북한의 사이버 심리전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송과 전단, 유튜브 등을 활용한 그야말로 총공세전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원장은 "핵무기나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에 버금가는 사이버 테러 및 사이버 심리전 공세의 파괴적인 위험성을 막아내기 위한 철저한 준비와 대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