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서울에서 열린 대규모 시위에서 발생한 폭력상황에 대한 책임이 경찰의 과잉진압에 있다는 의견과 시위대의 불법시위에 있다는 의견이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열미터(대표 이택수)가 국민들을 대상으로 폭력상황이 발생한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를 물은 결과,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경찰의 과잉 폭력진압’에 있다는 응답이 40.7%, ‘불순선동세력의 불법·폭력시위’에 있다는 응답이 38.2%로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하게 나타났다. ‘경찰, 시위대 모두의 책임’이라는 응답은 15.8%, ‘잘 모름’ 응답은 5.3%.의 모든 지역과 계층에서 ‘경찰의 과잉진압’과 ‘시위대의 불법시위’라는 응답이 대다수로 나타났는데, 먼저 지역별로는 광주·전라(경찰의 과잉진압 61.3% vs 시위대의 불법시위 21.5%), 서울(46.5% vs 37.3%), 경기·인천(46.2% vs 33.1%)에서는 ‘경찰의 과잉진압’이라는 응답이 우세한 반면, 대구·경북(16.9% vs 57.8%)에서는 ‘시위대의 불법시위’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부산·경남·울산(36.5% vs 43.2%)과 대전·충청·세종(34.8% vs 43.2%)에서는 ‘시위대의 불법시위’라는 응답이 오차범위 내에서 우세했다.
연령별로는 20대(경찰의 과잉진압 61.0% vs 시위대의 불법시위 9.0%), 30대(56.3% vs 23.5%), 40대(48.4% vs 32.1%)에서는 ‘경찰의 과잉진압’이라는 응답이 우세한 반면, 60대 이상(17.6% vs 63.8%)과 50대(25.8% vs 55.4%)에서는 ‘시위대의 불법시위’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지지정당별로는 새누리당 지지층(경찰의 과잉진압 6.9% vs 시위대의 불법시위 74.6%)에서는 ‘시위대의 불법시위’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새정치연합 지지층(81.5% vs 4.7%)과 정의당 지지층(88.3% vs 8.0%)에서는 ‘경찰의 과잉진압’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어느 정당도 지지하지 않는 무당층(경찰의 과잉진압 44.1% vs 경찰·시위대 모두의 책임 32.1%)에서는 ‘경찰의 과잉진압’이라는 응답이 ‘경찰·시위대 모두의 책임’이란 응답보다 오차범위 밖에서 우세했다.
마지막으로 정치성향별로는 보수층(경찰의 과잉진압 15.0% vs 시위대의 불법시위 74.7%)에서는 ‘시위대의 불법시위’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진보층(경찰의 과잉진압 75.6% vs 경찰·시위대 모두의 책임 13.1%)에서는 ‘경찰의 과잉진압’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중도층(경찰의 과잉진압 43.2% vs 시위대의 불법시위 34.1%)에서는 ‘경찰의 과잉진압’이라는 응답이 ‘시위대의 불법시위’라는 응답보다 오차범위 밖에서 우세했다.
이번 조사는 11월 17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50%)와 유선전화(50%) 임의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했고,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통해 통계 보정했다. 응답률은 4.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불법 시위 혹은 과잉 진압...바보야! 둘다 문제야?” 오차범위내 팽팽
입력 2015-11-20 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