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소녀상 쟁점화 일본 전략 극도 경계 “아베 철거 요구 사실과 다르다”

입력 2015-11-19 17:09

정부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한일 정상회담 단독회담 당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타결하는 조건으로 '소녀상' 철거를 제시했다는 일본 언론 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정례브리핑에서 "(한일 정상회담 당시 소수의 참모만 참석한) 단독회담에서 아베 총리가 소녀상의 철거를 요구했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조 대변인은 "양국 정상 간 협의 내용 상세를 밝히는 것은 자제하고자 한다"면서 "우리 정부로서는 일본에서 이렇게 사실과 다르거나 왜곡된 보도가 잇따르는 것을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일본 언론은 최근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의 철거가 협상 조기 타결의 조건'이라는 자국 정부 관계자들의 주장을 잇따라 보도하고 있다.

아사히(朝日)신문은 아베 총리가 지난 2일 한일 정상회담에서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소녀상의 철거가 조기 타결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라는 뜻을 밝혔다고 19일 보도했다.

앞서 교도통신도 아베 정권의 간부가 총리 관저와 외무성 관계자에게 소녀상 철거를 조기 타결의 전제 조건으로 삼는다는 방침을 전달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런 보도는 정상회담 내용과 거리가 있을뿐더러, 민간이 자발적으로 세운 소녀상의 철거는 협상의 대상이나 문제 해결의 전제조건이 될 수 없다는 게 우리 정부의 입장이다.

특히 일본 측의 최근 움직임은 소녀상 철거를 위안부 협상과 연계해 '쟁점화'하려는 전략에서 나왔다는 지적도 있다.

위안부 협상이 가속하는 국면에서 '언론플레이'를 통해 자신들에게 유리한 구도를 짜려는 것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의 다른 관계자는 "부적절한 이야기들로 협상 진행에 영향을 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