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중인 ‘서울형 도시재생’의 13개 핵심지역을 선정해 사업을 본격화한다.
서울시는 현재 진행중인 도시재생 사업의 법적 근거인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이 18일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조건부가결로 통과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로써 서울형 도시재생 사업의 법정 절차가 마무리됐다.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은 향후 10년간 서울의 도시재생 정책수립 기본방향이 된다. 10년마다 수립되며 필요한 경우 5년마다 재정비된다.
이번에 처음 지정된 13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은 창신·숭인, 서울역 일대, 창동·상계, 가리봉, 세운상가, 낙원상가, 장안평, 해방촌, 장위1동, 암사1동, 성수 1·2가동, 신촌동, 상도4동이다.
창신·숭인일대는 뉴타운해제지역과 봉제산업밀집지역으로 공통체 활성화를 통한 주거산업문화 통합 재생이 추진된다. 세운상가 일대는 문화·관광과 연계한 도심산업 거점으로 조성되고 창동·상계일대는 수도권 동북부의 경제중심지로 발돋움한다. 가리봉일대는 G벨리와 연계한 주거환경개선 사업이 추진되고 성수 1·2가동 일대는 토착 수제화산업 활성화 및 주거환경 개선 사업이 진행된다.
해방촌일대는 남산과 다문화를 활용한 지역의 명소로 조성되고 신촌동 일대는 대학가의 청년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경제 공동체 활성화가 추진된다.
이들 지역은 4~5년에 걸쳐 최대 100억~500억원 규모로 지역역량강화사업, 앵커시설(지원시설) 확충 등 마중물사업에 대한 공공지원을 받게 된다. 또 주민들간 소통과 관계망 형성이 서울형 도시재생 성공의 중요 요소인 만큼 다양한 소통방안이 마련된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서울형 도시재생사업 본격화...도시재생활성화지역 13개 신규 지정
입력 2015-11-19 16:15